2007년 태안 기름 유출 사태, 2009년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지난해 이태원 참사까지 한국사회의 그늘지고 외로운 현장에는 항상 그가 있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총회 사회봉사부 총무와 한국교회봉사단 사무총장 등을 거치며 오랜 시간 약자들과 함께 울고 웃었던 김종생(66) 목사가 이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로 교회 연합과 일치를 위해 나선다.
14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만난 김 목사는 “한국교회가 눈에 드러나는 ‘빛’보다는 녹아 없어지는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교회 디아코니아(섬김과 봉사) 사역에서 일했던 그는 남은 일생을 에큐메니컬의 발전에 헌신하기 위해 NCCK 총무에 출사표를 냈다. 그는 “정의를 외치면서도 그 안에 사랑이 있고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따뜻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일을 인생 여정의 마지막으로 이루고 싶어 과분한 자리지만 도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큰 포부를 가졌지만 총무에 당선되기까지 쉽지 않은 길을 걸었다. 명성교회가 세운 소금의집 상임이사로 있으면서 ‘친명성’이라는 꼬리표가 붙었고 특히 청년들의 반대가 심했다. 김 총무의 말이다.
“그동안 약자들과 함께하는 사역은 힘들기는 해도 박수를 받는 자리였다.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지만 지켜보는 사람의 눈에 오해가 있을 수도 있다는 걸 깨닫고 더 긴장하며 기도하게 됐다. 취임 후 반대의 목소리를 냈던 이들과 대화를 했고 앞으로 NCCK와 나의 행보에 많은 가르침과 조언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것을 지침처럼 삼고 되새기며 총무 사역을 이어가겠다.”
NCCK는 현재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한국교회가 점차 보수화되면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그는 한국교회와 소통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그동안 NCCK는 약자의 편에 서고 민주화의 궤적에 함께 호흡을 맞춰왔던 자랑스러운 역사가 있다. 하지만 활동가들 사이에 군사 독재 정부 시절 전투적인 에큐메니컬 정신이 남아있는 반면 한국교회는 보수화되며 서로 간극이 생겼다고 본다. 교회의 고충이 우리의 고충이 되고 교회의 기도 제목이 우리의 기도 제목이 될 때 교회들의 마음이 열리고 후원에 대한 생각도 열릴 것이라고 생각한다.”
김 목사는 다음 달 인도에서 열릴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총회에 참가하면서 세계교회와의 협력도 이어간다. 또 내년도 NCCK 설립 100주년 기념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NCCK 사회운동사 20권과 통사 4권이 내년에 완간된다. 한국의 독립과 민주화에 이바지한 역사 인물 100인과 역사 현장 100곳을 선정해 발표하려는 계획도 있다. 나이와 정치 성향을 떠나 한국교회를 조망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장도 마련하려고 한다. 한국사회 및 한국교회와 함께해 온 NCCK의 정신이 계속 이어지도록 임기 동안 최선을 다하겠다.”
박용미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