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기형적 조직·특혜 계약 의혹 등 중점 진상규명 나설 듯

입력 2023-08-15 04:02
3일 전북 부안군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 야영지 내에 마련된 잼버리 병원에서 온열질환 등을 호소하던 참가자들이 병상 부족으로 간이 침대에 누워 있다. 연합뉴스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파행 사태는 범정부 조직 운영, 잼버리 인프라 구축 및 특혜계약, 관련 부처의 외유성 출장 등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감사원 감사를 비롯한 진상규명 작업도 이들 쟁점을 중심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새만금 잼버리는 무엇보다 범정부 조직 간 손발이 맞지 않았고, 주도적으로 진행 상황을 챙기는 부서도 없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태선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 5인이 공동조직위원장을 맡았지만 준비 작업을 총괄 지휘하는 인물이 없는 기형적 구조였다. 조직위 관계자는 14일 “실질적으로 대회를 주관하는 조직은 여가부와 전북도지만 이들은 다른 부처의 협력을 끌어내기에 한계가 있었다”며 “큰 규모의 국제 행사를 개최할 때는 전담 조직과 범정부 조직을 이끌 수 있는 권위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인프라 조성 과정에서의 특혜 의혹도 또다시 터져 나왔다.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전주을지역위원회 직능위원장인 A씨의 업체가 2021년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잼버리 조직위 발주 용역 8건을 따냈다. 모두 23억5967만원 규모이며, 5억2000만원(7건)은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정 의원은 “이 업체는 2021년 기준 자본금은 1억원, 직원은 3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A씨는 “잼버리 조직위에서 먼저 연락이 와서 홍보 카드 영상 등을 올렸고, 반응이 좋았다”며 “민주당에서 전주을 직능위원장 자리를 준다고 한 것이지 실질적으로 당 활동을 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여기에 조달청 나라장터 분석 결과 잼버리와 관련해 계약한 272건 중 69.1%인 188건이 수의계약이었다.

외유성 해외 출장은 성난 민심에 불을 붙였다. 전북도 관계자 5명은 2018년 5월 잼버리 성공 개최 사례를 조사한다며 스위스·이탈리아를 6박8일간 방문했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잼버리 개최 경험이 없다. 잼버리와는 상관없는 유람선 여행도 있었다. 부안군은 크루즈 거점 기항지 조성을 통한 잼버리 개최지 홍보를 명목으로 두 차례나 다녀왔다. 잼버리 관련 해외 출장은 전북도와 부안군, 여가부 등에서 99건에 달했다.

잼버리 예산 대부분은 운영비로 투입됐다. 총예산 1171억원 가운데 870억원(74%)이 조직위 운영비 및 사업비였다. 반면 상하수도와 하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 조성에는 205억원이 투입되는 데 그쳤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