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전북지사가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파행에 대해 “진실은 정부와 조직위원회, 지방자치단체의 업무 분장과 구체적인 업무 수행 내용을 살펴보면 밝혀질 것”이라며 정부·여당의 문책 기류에 반발하고 나섰다.
또 잼버리를 이용해 수조원대 사회간접자본(SOC)을 구축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허위 사실을 주장해 명예를 실추시키는 행위는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며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김 지사는 14일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껏 전북은 개최지로서 짊어져야 할 짐을 마다하지 않았다”며 “세부적인 내용은 조직위, 전북도, 각 부처에 모두 공식 문서로 남아 있다. 전북이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당연히 그에 따른 책임도 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여권의 전북 책임론에 대해 “예산 1171억원 중 조직위가 집행한 것은 870억원, 전북 265억원, 부안군 36억원”이라며 “전북도는 상·하수도, 하수처리시설, 주차장, 덩굴터널, 대집회장, 간이 펌프장 등을 맡았고 그 외 대부분은 조직위가 중심이 돼서 계약을 하고 처리했다”고 선을 그었다. 화장실·샤워실, 폭염 대비 시설 준비 미흡 등에 대해서도 “결재라인에 있던 사람이 챙겼는지 안 챙겼는지를 밝히면 될 것”이라며 “조직위 시설본부와 사무총장, 조직위원장 등이 그 결재라인”이라고 강조했다.
새만금 SOC 확충용 잼버리가 아니었냐는 의혹에 대해선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새만금 사업은 잼버리가 유치되기 훨씬 이전부터 이미 국가사업으로 추진해 왔다”며 노태우정부에서부터 이어져 온 사업 내용을 열거했다. 그러면서 “10조원 규모의 새만금 SOC 사업은 잼버리와 관계없이 새만금 투자 환경 개선 및 내부 개발 촉진을 위한 기반시설로 새만금 기본계획에 따라 진행된 사업들”이라고 반박했다. 또 “새만금 국제공항 역시 문재인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각 지역에 2건씩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은 것”이라며 “공항 부실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새만금 공항만 이야기하는 것은 전북과 새만금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잼버리 야영장 부지 선정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현재 영지가 양질의 상수도를 끌어올 수 있는 지역이었다”며 “다른 농생명용지를 썼다면 너무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전북지역 업체들이 잼버리 사업을 대거 수주한 데 대해선 “도지사로서 지역 업체에 우선권을 주는 것이 도지사로 일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김 지사는 “개최지 도지사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마음의 상처를 입은 국민께도 깊이 사과드린다”며 전북 자체 감사에도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조민경 여성가족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행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한 것에 대해 운영을 지원한 주무 부처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감사원 감사에 충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김유나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