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 푼 유커에 분주해진 서울시… 덤핑관광 없앤다

입력 2023-08-15 04:07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한·중 국제여객선 운항이 3년7개월 만에 재개됐다. 12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 입국한 중국인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이 6년만에 자국민의 한국 단체관광을 허용하면서 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목표로 내세운 서울시가 후속 대책에 착수했다.

과거 면세점 쇼핑 위주의 저가 덤핑 관광 대신 특색 있는 체험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국 관광객과 서울시가 ‘윈윈’할 수 있는 관광상품 개발에 나선다.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바가지요금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함께 서울항 개항도 일정을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최근 중국 단체관광객 입국 대비 대책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잘못하면 옛날처럼 덤핑 관광이 주류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곧바로 시장 동향 파악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저가 관광지 위주로 돌아다닌 후 면세 쇼핑을 하는 ‘덤핑 관광’은 만족도가 낮아 재방문율이 떨어지고 특정 지역·면세점 등에만 사람이 몰린다는 단점이 있다.

시는 국내·외 대형 여행사들과 손잡고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프로그램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복·공예 체험이나 한국드라마를 통해 소개된 ‘치맥 (치킨+맥주)’체험 등이 거론된다. 사드와 코로나19를 거치며 훼손된 한·중 관광 채널 복원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단체 관광은 송출 국가와 방문국 사이 관광 네트워크가 있어야 원활하게 진행된다”며 “현지에 빨리 방문해 송출 여행사와 관계망을 복원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체험 중심의 고급화된 여행 상품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개별 자유 여행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을 유치하기 위한 중국 현지 행사도 검토한다. 또 다음 달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를 겨냥한 홍보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바가지요금 문제 해결을 위해선 지난달 30일부터 종로·명동·이태원·홍대 등 7개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특별점검을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불친절 행위와 바가지요금은 관광객을 쫓아내는 대표적인 행위”라며 “관광경찰대 등 관련 기능을 총동원해 이런 행위를 근절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등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26년 4월 예정인 서울항 개항 일정도 앞당길 예정이다. 특히 오세훈 시장의 의지도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서울시 관계자는 “외국 크루즈선이 인천을 거쳐 바로 서울로 기항할 수 있게 해 관광객 수요를 흡수해야 한다”며 “서울항이 국제적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지자체도 중국 관광객 유치 기대에 들썩이고 있다. 2017년부터 중국발 크루즈선이 끊겼던 제주도에는 10일 하루 동안에만 53척이 방문 예약했다. 내년 3월까지 제주항과 강정항에 선석 배정이 끝난 상태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항공사 등과 협력해 주 77편(6개 지역)인 중국 직항 항공편을 하반기 157편(17개 지역)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오물투기 등 중국인 관광객으로 인한 도민 불편도 적지 않았던 만큼 관광질서 계도반을 상시 운영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수도권·해외 여행사를 대상으로 인센티브 7억원을 제공해 중국인 단체 관광객 1만5000명을 부산으로 유치할 예정이다. 중국 최대 메신저 위챗과 연계한 항공권·호텔 할인 행사 등도 추진한다. 대구시도 중국 현지 여행사와 인플루언서 등을 대상으로 홍보전을 진행한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