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18일 미국 ‘캠프데이비드’에서 열리는 첫 한·미·일 단독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7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3국 정상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는 윤 대통령 취임 이후 네 번째다. 김건희 여사는 이번 방문에는 동행하지 않는다. 윤 대통령은 폭우와 태풍, 잼버리 파행 논란 등 고비를 넘기고 한·미·일 정상회의를 통해 국정 드라이브를 다시 걸겠다는 방침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13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18일 오전(현지시간) 한·미·일 정상회의를 갖고, 정상 오찬에 참석할 예정”이라며 “이후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3국 정상 간 협의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장은 이어 “이번 회의를 통해 한·미·일 3자 협의체는 인도·태평양 지역 내 협력체로서 뚜렷한 독립성을 획득하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정상은 3국 간 안보협력과 관련한 공동비전과 기본원칙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군사적 협력뿐만 아니라 디지털사이버안보 문제와 공급망·에너지 관련 경제안보 문제에 포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 논의도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일각에서 제기됐던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지지 관련 논의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또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 결과문서에 중국을 직접적으로 거론하는 표현도 들어가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정상은 3국 정상회의가 열리는 당일 캠프데이비드에서 한·미, 한·일 간 별도 정상회담을 연쇄적으로 여는 방안도 조율 중이다.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는 정상회의 목적만을 위해 단독으로 개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1994년 이후 지금까지 12차례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렸지만 모두 다자간 국제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것이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