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최근 혁신위원회가 내놓은 ‘대의원제 축소’ 혁신안의 수용 여부를 놓고 계파 갈등이 본격화되기 전 ‘잠복기’를 보내고 있다. 이재명 대표와 친명(친이재명)계에서는 해당 혁신안을 강행하겠다는 의지가 크지만,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다시 커지고 있어 친명계는 속앓이하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지난 11일 “혁신안은 혁신위의 제안이기 때문에 당내 논의를 거쳐서 합당한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내놨다. ‘대의원제 축소’라는 뇌관을 둘러싼 친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 간 갈등은 오는 16일 의원총회에서 다시 불붙을 전망이다.
친명계 핵심 의원은 1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이미 ‘최대 혁신은 총선 승리’라고 말하지 않았느냐”며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혁신해야 되고, (이 대표도) 혁신안에 대해 뭘 반대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검찰 출석을 앞두고 있어 발언에 조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도 답답하지만 어쩔 수 없다”고 토로했다.
비명계는 대의원제 축소 논의를 최대한 뒤로 미루면서 결국 수용하지 않는 방향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 수도권 비명계 의원은 “대의원제 축소는 지금 갑론을박한다고 해서 답을 낼 것도 아니다”면서 “당내 최대 모임인 ‘더좋은미래’가 말했던 방향으로 합의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더좋은미래는 “대의원제는 1년 뒤 전당대회 문제로 국민 관심 사안도, 국민이 바라는 민주당 혁신의 핵심도 아니다”면서 총선 전 논의를 더 진행하지 말 것을 제안했다.
이 비명계 의원은 “혁신안 중에서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미뤄놓을 건 미뤄놓은 뒤에 적절한 수준에서 ‘페이드아웃’(서서히 사라짐)시키는 게 맞는다”고 주장했다.
원내지도부는 혁신안 논쟁을 가급적 조속히 마무리 짓고 싶어하는 분위기다. 내년 총선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대의원제 논의가 길어질수록 당에 부담만 된다는 것이다. 다만 계파 간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이슈여서 16일 의총에서 관련 논의가 마무리되지 못하고 오는 28~29일 의원 워크숍까지 논쟁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백현동 특혜개발 의혹’과 관련한 이 대표의 검찰 출석이 코앞(17일)으로 다가오면서 이 대표 사법 리스크로 인한 당 내홍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민주당은 16일 개회하는 8월 임시국회 도중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이뤄지면 여당과 합의를 통해 ‘회기 쪼개기’를 할 방침이다. 해당 기간 국회를 닫아 이 대표가 법원의 구속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검찰이 영창 청구를 9월 정기국회 기간에 하는 경우다. 정기국회는 회기 쪼개기가 불가능해 체포동의안을 표결에 부칠 수밖에 없다. 민주당은 표결을 하더라도 체포동의안이 가결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표결 결과에 따라 ‘방탄 논란’이 또 불거질 수도 있다.
신용일 박장군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