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가 우여곡절 끝에 12일 막을 내리면서 진실의 시간이 찾아오고 있다. 정치권은 16일 시작되는 8월 임시국회에서 치열한 책임 공방을 펼칠 전망이다.
정부·여당은 잼버리 대회에서 문제가 된 야영장·화장실 등 기반 시설 준비는 문재인정부 시절 주로 이뤄진 것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전북도가 잼버리 대회를 명목으로 11조원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유치하면서 정작 대회 자체에는 소홀했던 게 아닌지를 들여다볼 계획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폭염은 기후 변화에 따른 변수라고 할지라도 화장실·급식 등 가장 기본적인 시설이 왜 이리 열악했는지는 반드시 원인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2017년 8월 잼버리 유치 결정 후 약 6년의 준비 기간 중 5년을 문재인정부에서 했다”면서 “준비 기간에 각종 기반 시설과 편의 시설이 전혀 구축되지 않은 부분은 분명히 규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잼버리 대회에는 6년간 총 1171억원이 사용됐는데, 야영장과 화장실·샤워장·급수대 등 기반 시설 조성에는 전체 예산의 약 10%인 119억원이 쓰였다.
전북도가 지역 SOC 구축에만 혈안이 됐던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민수 국민의힘 대변인은 논평에서 “전북도 입찰 담당 공무원들과 공사 및 물품 공급을 수주한 지역 업체 간의 ‘이권 카르텔’은 없었는가”라며 “전북도가 잼버리 대회를 핑계로 11조원에 달하는 SOC 예산만 빼먹고 잼버리는 방치한 것은 아닌지 국민적 미스터리가 한두 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수의계약 부정 의혹도 고개를 들고 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여당 간사인 정경희 의원은 조달청이 제출한 ‘잼버리 관련 나라장터 입찰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잼버리 조직위·전북도·부안군·농어촌공사·새만금개발청 등이 잼버리 대회와 관련해 맺은 계약 272건 중 수의계약은 188건(117억3455만원 규모)으로 69.1%에 달했다.
잼버리 조직위가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간부가 대표로 있는 업체에 24억원 상당의 용역 계약을 몰아줬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정 의원이 조달청에서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민주당 전북도당 전주을지역위 직능위원장 A씨가 대표인 B업체는 2021년 9월부터 올해 6월 사이 잼버리 조직위가 발주한 용역 8건(23억5900여만원 규모)을 따냈고, 이 중 7건이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도 책임론을 피해가기 어려울 전망이지만, 여권 내부는 전북도에 대한 책임 추궁을 우선시하는 분위기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기류다. 유 수석대변인은 “감사원 감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정리된 다음 국정조사를 진행한다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은 이르면 이번 주 감사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구자창 정현수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