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뒷담] 실세 부처 기재부-행안부 ‘공용주차구역’ 두고 신경전

입력 2023-08-11 04:04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가 청사 주차장 자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공용주차구역을 두고 양 부처 직원들이 정면 충돌하는 모양새다.

현재 두 부처는 이른바 ‘갑(甲) 타워’라 불리는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나란히 입주해 주차장을 함께 쓰고있다. 주차장은 지하 2개 층 규모로, 기존 기재부 청사(4동) 때와 비교해 주차난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 그러나 중앙동 입주 6개월이 지난 현재 주차 전쟁이 다시 가시화되고 있다. 차량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중앙동 지하 2층 주차장에 마련된 공용주차구역이 논란이 됐다. 공용주차구역은 각 부처가 운용하는 업무용 차량을 세우는 공간이다. 기재부와 행안부가 각각 20석, 30석 가량을 갖고 있다. 행안부가 소유한 공용차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행안부 공용주차구역은 지하 2층 출입문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 반면 기재부 공용주차구역은 출입문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에 기재부 직원들의 익명게시판에는 “행안부는 공용차량이 얼마나 많길래 그 넓은 공간이 필요하냐” “왜 기재부 공간은 구석에 있느냐” “무엇이든 행안부 퍼스트”라는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기재부 공무원들은 행안부 공용주차공간에 개인 차량으로 의심되는 차량이 서 있는 사례가 많다고 입을 모은다. 한 기재부 직원은 10일 “행안부 주차구역을 보면 아파트 출입 스티커가 붙어있는 차량이 자주 눈에 띈다”며 “말만 공용주차구역”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용주차구역 배치는 두 부처가 사전에 합의한 사안이다. 기재부 측은 직원들이 출입문과 가까운 곳에 차를 댈 수 있도록 일부러 공용주차구역을 구석 자리로 돌렸다고 한다. 또 기재부 직원이 행안부 구역에 개인차량을 주차해 적발된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고 한다. 정부 관계자는 “차량 요일제 등을 확대 실시해 주차 수요를 조절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