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식(65) 보국에너텍 부회장을 최근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서 만난 건 그가 지금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과는 무관하게 해외건설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권 부회장은 1982년 11월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해외영업본부장을 끝으로 2014년 말 퇴임할 때까지 32년 2개월 동안 현대건설에서 종신하며 한국 해외건설의 성장과 번영을 함께한 산증인이다. 그 경험담을 꼼꼼하게 기록한 ‘균형의 힘’을 올해 4월 출간했는데 기자가 그를 알게 된 게 이 책을 통해서였다.
현재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 침체, 공사비 인상 등이 맞물리며 그동안 가장 큰 밥벌이였던 국내 주택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다시 해외수주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해외건설은 1960년대부터 수십년 동안 한국을 먹여살린 공신이지만 2000년대 들어 아파트가 비싼 값에 잘 팔리는 시대가 지속되자 어느덧 찬밥 신세로 밀려나 있었다.
권 부회장은 한국 건설사가 이름값이나 기술력보다도 싼값과 근면함으로 어필하던 시절 해외 각국에서 일감을 따냈다. 1987년 6월부터 1991년 말까지 사장 비서실에서 근무한 4년 6개월을 빼고는 해외영업본부에서만 일했다. 첫 부임지인 사우디아라비아부터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카타르까지 그가 이들 4개국 해외 지사에서 일한 기간만 15년이다. 지사장으로 부임한 쿠웨이트에서는 6년을 근무했는데 후반부였던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을 가까이서 겪었다.
“전쟁도 터지고 그랬지만 해외 근무 15년 중 12년을 중동에 있었다 보니 제2의 고향이라고 봐야죠. 사우디에 처음 나갈 때는 인도네시아나 싱가포르처럼 좋은 데도 있는데 제일 어려운 나라라 걱정도 했지만 ‘중동 산업 역군의 일원이 되는구나’ 하는 뿌듯한 감정도 있었어요. 당시 사우디는 기후도 힘들지만 아주 폐쇄적인 나라였거든요.”
그 폐쇄적인 환경에서도 당시 사원이었던 권 부회장은 내무성과 국방성 발주 공사로 6억 달러어치를 따내며 첫 영업 성과를 냈다. 현대건설은 1965년 태국 파타닛-나라와트 고속도로 공사를 맡으며 처음으로 해외건설 시장에 진출했는데 그때부터의 누적 수주금액이 1000억 달러를 달성한 게 권 부회장이 해외영업본부장이던 2014년이다. 그는 책에서 “회사 전체의 실적이었다”면서도 “개인적으로 더할 나위 없는 영광이었다”고 술회했다.
“전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건설 분야 점유율이 6%가 안 됩니다. 제가 있을 때랑 거의 비슷해요. 그리고 한국 건설업체들이 수주한 공사의 70%가 중동 아니면 아시아에 집중돼 있어요. 시장을 좀 더 다변화해야 해요.”
그가 제안하는 지역은 전후 복구가 필요한 이라크 리비아 우크라이나와 풍부한 자원을 스스로 개발할 수 없는 아프리카다. “부서진 걸 재건하려면 한두 해 가지고 될 일이 아니거든요. 10년, 20년, 30년이 걸릴지도 모르고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계속 기회를 보면서 조금씩 진출해 교두보를 쌓아야 해요.”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