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광주시가 각각 어르신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무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8일 도청에서 ‘노인 등 대상 대중교통 요금체계 개편방안 중간보고회’를 열고 70세 이상 어르신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의 대중교통 무료 이용방안을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내년 하반기 시범 운영을 거쳐 2025년 1월부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내 22개 시군의 모든 버스가 대상이다.
경북도는 대중교통 무료화가 추진되면 도내 전체 인구(2023년 1월 기준·259만명)의 25.2%인 65만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사진이 부착된 전용 선불 충전카드를 이용하게 할 방침이다.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화는 이미 전국적인 추세다. 2015년 충북 영동군을 시작으로 제주도(2017년), 충남도(2019년)가 도입했다. 대구시도 지난달 1일부터 7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무료화를 전면 시행했다. 경북에서는 청송군이 올해 1월 전 군민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무료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경북도는 대중교통 요금체계 개편 용역 결과를 토대로 올해 말 실무협의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만 6~18세 도민을 대상으로 하루 3회까지 버스 운임을 받지 않은 아동·청소년 대중교통 무료 승차 계획도 별도로 추진한다.
광주시는 청소년 무상교통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2024년부터 만 6~12세 이하 어린이는 무료, 만 13~18세는 월 1만원권 또는 2만원권 무기명 정기권을 지급하는 1단계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2단계는 초·중·고생 등 청소년의 무상교통을 전면 실현하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 현재 연계 운행 중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등의 무상교통 적용범위와 시스템 변경, 적용시점, 장단점 등을 비교 분석 중이다.
전남지역 13개 기초단체는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무상교통에 버금가는 100원 버스 제도를 시행 중이다. 부산시 역시 내년부터 12세 이하 대중교통 무료화, 세종시는 2025년부터 시내버스 청소년 전면 무료화를 도입한다.
광주시는 준공영제로 운영 중인 시내버스에 올해 기준 1393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만큼 재정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청소년 무상교통을 실현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광주 시내버스 요금은 2016년 8월부터 동결되고 있지만 청소년 무상교통을 교통비 인상의 명분으로 삼지는 않을 것”이라며 “시의회와 협의해 내년부터 첫발을 떼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동·광주=김재산 장선욱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