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에 참가한 세계 각국 대원들이 8일 전원 야영지를 떠남에 따라 6조원대 파급효과를 기대했던 당초 전북도의 장밋빛 청사진도 새만금 매립지에 묻히게 됐다.
전북도는 당초 잼버리 기간 9만명의 방문객이 방문하고, 755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잼버리 개영과 함께 폭염 대책, 인프라 부족 등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 이어 경제 효과까지 도마 위에 올랐다.
2018년 8월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연구원은 잼버리 유치에 따른 기대효과로 사회간접시설(SOC) 조기 구축 시 모두 6조4656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발표했었다. 잼버리 기간 국가 차원에서 1198억원의 생산과 1098명의 고용, 406억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으로도 내다봤다.
2019년 1월 새만금공항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이 됐다. 국토교통부는 8077억원을 들여 내년 착공, 2029년 개항할 예정이다. 새만금 핵심 인프라인 동서·남북 십자형 간선도로(43.6㎞)도 전 구간이 완성됐다. 두 도로에 들어간 예산만 7886억원이다.
그러나 1000억원의 예산을 쏟아부으며 6년간 야심차게 준비했다는 새만금 잔치는 8일 만의 철수로 허무하게 끝나게 됐다. 이제는 ‘마이너스’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마케팅 효과와 향후 투자유치 등의 효과는 고사하고, 나빠진 전북 이미지의 회복과 사후 수습에 많은 힘을 쏟아야 할 상황이다.
잼버리 특수를 기대했던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은 다시 허허벌판으로 변한 야영장을 보며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준비도 잘하고 기대도 컸는데 너무 아쉽다”며 한숨을 쉬었다.
그나마 10개국 5700여명의 대원이 전북에 남게 돼 다행스럽다는 분위기다. 전북 지자체들은 남은 손님들을 잘 대접해 유종의 미를 거두기로 했다. 60여개의 영외 프로그램도 계속 운영할 예정이다.
유영욱 전북도 대변인은 입장문을 통해 “잼버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남아 있는 대원들의 영외 프로그램을 비롯해 각종 활동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부안=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