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전북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대회에 보낸 각국 부모들은 언론을 통해 열악한 대회 환경을 성토했다. 한국 정부가 사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주의 저스틴 코덴은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14세 아들이 지난 4일 밤 심각한 탈수증으로 구토를 했지만 병원이 문을 닫아 치료받을 수 없었다”며 “주최 측이 충분한 음식, 더위를 피할 공간 등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들이 안전하게 귀가하기를 바랄 뿐”이라며 “한국 정부가 전 세계에 사과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6500달러(약 850만원)를 들여 17세 아들 코리를 잼버리에 보낸 미 버지니아주에 사는 크리스틴 세이어스는 CNN에 아들의 꿈이 “악몽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들은 그게 얼마나 큰돈인지, 자기를 (잼버리에) 보내기 위해 가족이 얼마나 많이 희생했는지 잘 알고 있다”고 호소했다.
영국 16세 소년의 한 학부모도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아들은 잼버리 현장을 ‘난장판’이라고 했다”며 “스카우트의 모토는 ‘준비하라’인데 한국 정부는 그렇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다만 AP통신은 일부 대원은 잼버리를 즐기고 있었으며 철수 소식에 실망했다고 전했다. 16세와 14세 아들을 한국에 보낸 미 샌프란시스코의 레이먼드 웡은 “참가자가 퇴영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아이들은 잘 지내고 있고 정말 즐거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잼버리장에서 철수해 서울에 도착한 영국 참가자들은 숙박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BBC는 “5명이 한방을 쓰고 250명 가까이가 호텔 연회장에서 잠을 청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