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긴급안전점검 결과 철근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난 15개 아파트 단지 보강 공사에 나선다고 밝혔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전문가들은 검증된 공법인 만큼 보강 공사가 제대로 되면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다만 철근 누락뿐 아니라 전반적인 콘크리트 강도 조사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LH는 15개 단지의 설계, 시공, 감리 관련 업체를 경찰청에 수사 의뢰하고 전관 특혜 의혹을 조사하는 등 뒷북 대응에 나섰다.
LH는 문제가 된 15개 단지 중 3개 단지의 보강 공사를 마쳤고, 나머지 12개 단지에 대한 보강 공사를 진행 중이다. 기둥을 더하거나 콘크리트 판(슬래브)을 보완하는 식이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단 교수는 2일 “보강은 검증된 공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며 “다만 시간이 지나면 연결 부위가 뜨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하자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기둥을 추가로 세우는 보강 공사가 보기에는 불안해 보일 수 있지만 외부 보강이 더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박성준 대한건축사협회 부회장은 “기존 건물 리모델링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며 “콘크리트를 깨고 철근을 보강하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 시점이 달라 오히려 하자가 생길 수 있다. 외부 보강이 관리 측면에서 더 용이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에 문제가 된 전단보강근뿐 아니라 시멘트 수급이 불안정할 때 타설된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조사를 전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문제가 된 15개 지구의 콘크리트 강도는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다른 단지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부회장은 “콘크리트 강도는 현장 작업 기술에 따라 달라지고, 시멘트 상태, 날씨나 양생 과정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코로나19 이후 시멘트 파동으로 수급 문제가 있었을 때 좋지 않은 조건에서 매입된 시멘트는 콘크리트 품질이 좋지 않았다. 콘크리트 품질에 대한 관리 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성걸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역시 “지역마다 레미콘 공급 카르텔이 있는데, 이런 현장의 문제도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LH는 이날 이한준 사장을 비롯한 임원들과 전국 지역본부장이 모여 긴급회의를 열었다. 전관 특혜 의혹이 제기된 업체들의 선정 절차와 심사 과정을 조사하고, 발주에서 감리까지 이권 카르텔이 개입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15개 단지의 설계, 시공, 감리 관련 업체와 관련자에 대해서는 경찰청에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