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폭우와 산사태로 사망자·실종자가 속출한 경북 예천군 주민들은 1일 집과 과수원 등 복구 작업에 한창이었다. 살인적인 무더위 탓에 경북 예천군 이재민들의 무너진 일상을 되찾기 위한 작업도 힘겹게 진행됐다. 당분간 폭염이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주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예천군에는 58명의 주민이 여전히 마을회관, 이웃집 등에서 지내는 중이다. 장맛비가 그치면서 산사태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귀가해도 좋다는 안내가 나왔지만 토사가 집을 덮쳐 살 곳을 잃어 돌아갈 곳도 없는 처지다.
감천면에서 만난 윤재순(69)씨는 보름 가까이 이웃집에서 기거한다고 했다. 윤씨는 “이웃 할머니가 방을 내줘 같이 지내고는 있지만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윤씨 같은 처지의 이재민들에게 임시거처를 마련해주기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감천면 마을회관 앞에선 컨테이너형 숙소를 놓을 곳에 콘크리트를 펴 바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는데, 오전 시간대에 이미 햇볕이 강하게 내리쫴 콘크리트가 금새 바싹 마르며 갈라졌다.
작업자들이 콘크리트 위로 연신 물을 뿌렸지만 역부족이었다. 정오가 가까워지면서 체감온도가 더욱 오르자 작업자들은 하는 수 없이 나무 밑 좁은 그늘에 모여 땀을 식혔다. 공사장 작업자 황병식(63)씨는 주민이 건네 준 얼음물로 달궈진 얼굴을 식히며 “마음 같아선 집을 빨리 지어드리고 싶은데 이런 찜통더위엔 작업할 수 있는 시간도 충분치 않다”고 했다.
주택이 우르르 쓸려나가며 마을이 초토화됐던 백석리의 상황도 여의치 않았다. 읍내에서 온 작업자들은 에어컨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포크레인에 앉아 지붕까지 뒤덮은 토사를 퍼내고 있었다. 김모(52)씨는 “음식이나 물을 챙겨와도 금방 상하거나 식는다. 우리 전부 온몸에 땀띠가 났다”고 토로했다.
작업자들은 한쪽 벽이 무너진 농기계 창고 안에서 선풍기 한 대 없이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웠다. 복구 작업에 나선 군 장병들도 폭염과 씨름해야 했다. 공군 91전대 911공병대대는 32명의 인원과 5대의 중장비를 예천 일대에 투입해 흙과 돌을 치웠다. 장병들은 저마다 얼음팩과 포도당을 들고 다니며 더위에 허덕이는 동료나 주민에게 나눠줬다. 이찬우 소위는 “더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 인원을 계속 교대하고 휴식시간을 보장하며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주민들은 죽어가는 사과 농장도 어떡하든 되살려보려고 애쓰는 모습이었다. 집중호우에 이은 폭염으로 사과가 썩어들어가는 탄저병이 확산하면서 주민들을 더욱 절망하게 했다. 최근 인근 마을에서 밭일하던 80대 노인이 숨지는 일도 발생했다. 낮에는 농사일을 멈추라는 안내가 나와서인지 오후 들어서는 인적을 찾기가 더 힘들었다. 메마른 사과나무가 무성한 잡초 속에 방치된 듯 보였다.
36년째 예천에서 사과 농사를 짓고 있는 권미경(59)씨는 “탄저병이 빗물을 타고 퍼지면서 약을 치지 않으면 안 된다”며 “한낮에는 도저히 일하지 못하니 새벽 4시에 일어나 오전에 잠깐 약을 뿌리고, 해가 지면 다시 밭에 나간다. 아오리 사과는 지금 따지 않으면 얼어 죽어 잠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일부 마을 노인들은 한평생 일군 사과밭을 썩게 둘 수 없다며 이웃의 만류에도 뙤약볕에 또 다시 발길을 과수원으로 돌렸다. 자원봉사를 온 이운자(66)씨는 “마을을 돌아다니다 보면 더워서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노인들이 있다”고 걱정하며 말했다. 이번 산사태로 망가진 집 정화조를 고치던 주민 권호량(73)씨는 “나도 몸무게가 6㎏ 줄었는데, 주민들 전부 지쳐 있는 상태다. 앞으로 계속 덥다는데 걱정이 크다”고 했다.
예천=글·사진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