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어린 시절 부모와 떨어져 방치되거나 아동학대를 겪은 사람에게서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이 발병하는 원인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정원석(사진) 교수 연구팀이 아동기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정신질환의 원인을 뇌에서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별아교세포에서 찾아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면역학(Immunity)’에 실렸다.
연구팀은 아동기 사회성 결핍을 일으킨 생쥐 실험을 통해 별아교세포가 스트레스 호르몬에 반응해 특정 신경 세포의 흥분성 시냅스를 선택적으로 잡아먹어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비정상적으로 높였다. 이로 인해 신경 회로망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면서 성인기에 사회성 결핍과 우울증 같은 복합적인 행동 이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인간의 뇌 오가노이드(유사한 장기)를 활용한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 교수는 “과도한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이 정신질환 발병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최초로 증명했다”며 “추후 다양한 뇌 질환의 이해와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