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월튼 해리스 워커 장군(1889~1950) 일가와 한국의 각별한 관계가 눈길을 끌고 있다. 초대 주한 미8군 사령관이었던 워커 장군은 6·25전쟁 당시 ‘워커 라인’으로 불린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해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이끌어 낸 주역으로 꼽힌다. 손자 샘 워커 2세는 주한미군 헬기 조종사로 복무했다.
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방한한 워커 장군의 손자 샘 워커 2세 부부는 조부 이름을 딴 서울 광진구 광장동 워커힐 호텔에 묵으며 뜻 깊은 시간을 보냈다고 워커힐이 30일 밝혔다. 샘 워커 부부는 지난 29일 호텔에 조성된 워커 장군 기념비를 찾아 헌화하고 고인을 추모했다. 지난 24일 방한한 샘 워커 부부는 부산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 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 경북 칠곡의 워커 장군 흉상 제막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28~30일 워커힐에 머물다 미국으로 돌아갔다.
워커 부부는 올해 워커힐 창립 60주년을 맞아 호텔 본관 로비에 전시된 청동불상을 관람했다고 한다. 유족들은 워커 장군의 애장품이었던 이 불상을 서거 70주년인 지난 2020년에 기증했다. 워커 부부는 워커힐 임직원에게 “별세한 지 70여년 흐른 지금까지 할아버지를 기억해주는 워커힐과 한국인에게 감사하다”는 뜻을 전했다.
정부는 1963년 워커 장군을 추모하는 취지로 주한미군과 외교관 등을 대상으로 개관한 휴양단지 이름을 ‘워커힐’로 지었다. SK그룹은 1973년 워커힐을 인수했다. 워커힐은 워커 장군을 비롯한 6·25 참전용사들의 공로를 기리고자 1987년 산책로에 워커 장군 기념비를 세웠다. SK그룹은 6·25 전쟁영웅이자 한·미 동맹의 상징적 인물인 고(故) 윌리엄 E. 웨버 대령과 존 싱글러브 장군의 추모비 건립 사업도 지원하고 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