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까지 노인 인구 10%에 해당하는 120만개까지 일자리를 확충키로 했다. 일자리 종류도 다양화해 단순 일자리 대신 은퇴 전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저출산·고령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제3차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단순히 개수를 늘리는 수준이 아니라 다양한 일자리 수요에 맞춰 대응한다는 게 골자다. 한국은 2027년 전체인구 중 노인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지만, 2021년 기준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4.9%)보다 월등히 높은 37.6% 수준이다.
복지부는 먼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 지원에 필요한 인력을 노인 일자리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일자리와 복지서비스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취지다. 취약 계층에 식사를 제공하거나 도시락을 배달하는 등의 서비스에 노인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일자리는 올해 23만명 수준이지만, 2027년까지 31만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역사회 아동이나 장애인을 돕는 등의 돌봄 수요 일자리 역시 14만명에서 27만명으로 확대한다. 이 같은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비중을 올해 9.6%에서 2027년 15%까지 높이겠다고 했다.
공익활동형 단순 일자리는 단계적으로 늘리되 활동 분야를 넓히기로 했다. 종이팩을 수거해 세척하거나 농약병, 폐그물 등을 분리해 재활용 자원으로 사용하는 등의 분야가 확대 대상이다. 또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최저임금 수준을 반영한 적정 수준의 활동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현재 활동비는 월 30시간 근로 기준 27만원이다. 정부는 또 ‘실버 택배’처럼 민간에서 노인 일자리를 발굴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노인 일자리 정책은 초고령 저소득 어르신뿐 아니라 생산성이 높지만 노후 대비가 부족한 젊은 노년층에게도 필요한 정책”이라며 “노인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로 혁신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