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그룹 불법 대북송금 사건과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측근들을 연달아 조사하고 있다. 이르면 다음 달 초 이 대표 소환 절차가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대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검찰과 민주당 간 신경전도 거세지고 있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백현동 개발 특혜 및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 다음 달 초 이 대표를 직접 소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 25일 백현동 의혹과 관련해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을 조사한 검찰은 당시 인허가 처분의 최종 결재권자였던 이 대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미 로비스트 김인섭씨와 백현동 개발업자가 구속 기소되는 등 수사가 대부분 진행된 상황이라 종착지인 이 대표 조사도 임박했다는 게 검찰 안팎의 관측이다.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도 27일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조사할 예정이다. 검찰은 김 전 부원장이 경기도 대변인이던 2019년 쌍방울의 800만 달러 대북송금 사실과 경위를 알고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은 김 전 부원장에게 대북송금 관련 보고를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상태다. 당시 경기도 정책실장이었던 정 전 실장의 진술 청취까지 마치면 사실상 이 대표 대면 조사만 남겨두게 된다.
수사가 이 대표로 바짝 다가서자 민주당 반발 강도도 세지고 있다.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이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이 필요 없는 국회 회기 전 청구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검찰 안팎에선 대체로 구속영장 청구 여부가 국회 비회기 시점에 결정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대북송금 의혹의 핵심 인물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진술 번복에 대한 갑론을박도 이어졌다. 이 전 부지사는 이달 초 검찰에서 ‘2019년 쌍방울에 이 대표의 방북 추진을 요청하며 관련 내용을 이 대표에게 보고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곧 다시 입장을 일부 바꿨다.
민주당 의원들은 검찰의 회유·압박이 있었던 게 아니냐고 주장하면서 수원지검을 방문해 항의 농성도 벌였다. 이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국회에서 “민주당이 자기편에 불리한 진술을 뒤집어 보려고 검찰청에 몰려가서 드러눕고 영치금 보내기 운동도 하고, 성명서 내고 가족과 접촉해서 진술을 번복하라고 압박한다”며 “권력을 악용한 최악의 사법 방해”라고 말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