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엔데믹으로 접어든 올해 상반기에 침입 범죄가 전년 대비 15.2% 증가했다. 에스원은 최근 3년간(2020~2022년) 침입 범죄의 빅데이터 및 상반기 통계를 분석해 여름 휴가철 범죄 동향을 26일 발표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침입 범죄는 연평균 25.8% 감소했었다.
에스원에 따르면 휴가철 전체 침입 범죄의 42.5%는 8월 1·2주차에 발생했다. 시간대별로 65.4%는 새벽 시간(오전 12시~6시)에 집중됐다. 침입 장소는 일반 매장(마트·편의점·의류점 등)이 4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음식점(26.1%), 사무실(7.2%) 등이었다. 침임 범죄의 목적은 현금(78.5%)이었다. 특히 현금을 노린 침입 중 88.2%는 100만원 이하 소액을 훔치려는 ‘생계형 범죄’였다. 범죄 연령대는 20대(31.6%)가 가장 많았다. 또한 휴가철을 앞둔 여행객을 노린 피싱·스미싱 등 정보보안 범죄를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상품’ ‘초특가 할인’ ‘무료혜택’ 등 휴가 관련 키워드를 제목으로 이메일이나 문자에 악성코드를 심어보내는 사례가 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