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새마을금고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 여진이 일부 아파트 입주민 갈등으로 불거졌다. 비교적 금리가 높은 새마을금고에 아파트 장기수선충당금을 예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분산 예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문제를 놓고 입주민 간 갈등도 벌어지고 있다.
24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 성북구 안암동 소재 모 아파트단지는 장기수선충당금 예치를 놓고 입주민 간 갈등이 빚어졌다. 현재까지 이 아파트에서 적립된 장기수선충당금 10억2000만원의 약 80%를 차지하는 8억원은 A새마을금고에 예치돼 있다. 그런데 이 중 만기에 근접한 1억5000만원을 인근의 다른 새마을금고에 분산 예치하자는 안건이 최근 동대표들의 반대에 부닥쳐 부결됐다.
분산 예치를 제안한 동대표 회장은 “적립금의 80%가량을 한 곳에 예치하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특히 ‘동대표 감사 B씨는 현재 A새마을금고 전무로 일하고 있어 이해상충 우려가 있다’는 것이 동대표 회장의 주장이다. A새마을금고 C 전 이사장도 이 아파트 주민이다. C 전 이사장은 아파트 동대표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동대표 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동대표와 감사를 포함한 6명 중 대다수는 이를 반대했다.
결국 해당 아파트는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에 장기수선충당금을 분산 예치하기로 했다. ‘뱅크런’ 우려가 일고있는 새마을금고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신민호 전국아파트연합회 서울지부 사무처장은 “금리가 높은 수협이나 새마을금고에 장기수선충당금을 예치하는 경우는 많다”며 “하지만 예금자 보호 한도가 5000만원이어서 대부분 분산해서 예치해 놓는다”고 말했다.
의견이 갈렸던 해당 아파트의 동대표 회장과 감사 B씨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나 재물손괴죄 등의 문제를 서로 제기하는 등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