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립준비청년에 정착금 2000만원 지원한다

입력 2023-07-25 04:08
뉴시스

내년부터 서울시 내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이 보육원 등 아동보호시설을 나올 때는 20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또 교통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비 지원도 이뤄진다. 사회에 나와 사기·임금 체불 등에 직면한 자립준비청년의 경우에는 서울시가 꾸린 전문가 집단의 도움도 받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계획 3.0’을 24일 발표했다. 앞서 시는 2021년 이들에 대한 자립정착금을 1000만원으로 인상하는 내용 등을 담은 1단계 대책을 발표했다. 자립준비청년 관련 지자체 차원의 첫 종합대책이었다. 지난해에는 자립정착금 인상(1500만원)을 비롯해 멘토링 등 심리·정서 지원을 강화한 2단계 대책도 내놓았다.

3단계 대책은 1·2단계 때 발표됐던 정책들을 보다 강화하는 내용이 중심이다. 시는 전국 최초로 자립정착금을 2000만원으로 확대한다.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2021년 500만원이던 자립정착금은 올해 1500만원까지 인상됐다. 시는 고물가 상황 등을 고려해 내년에도 자립정착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9월부터 월 6만원을 대중교통비 명목으로 지원하는 사업도 시작한다.

현재 자립준비청년 선후배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멘토링도 전문가 영역까지 확대된다. 시는 회사원·법조인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구성된 ‘인생 버디 100인 멘토단’을 구성·운영한다. 현재 오세훈 시장을 비롯해 성악가 조수미, 황영기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회장 등이 명예멘토로 가입했다. 예비자립준비청년들이 또래들과 스스로 일정, 장소 등을 정해 여행을 다녀오는 자립캠프 사업은 ‘우리끼리 여행캠프’로 확대·개편된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사회에 처음 나갔을 때 경제관념 부족 등의 이유로 사기나 임금체불 등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서울시는 이같이 자립준비청년들이 사회에서 처음 접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먼저 보호종료 이후를 대비해 자립준비청년들에게 법률·주거·금융 등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관한 교육을 제공하는 ‘배움 마켓’을 운영한다.

시는 문제가 발생한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는 분야별 전문가·전문기관 등이 참여하는 ‘전문 솔루션 회의’를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기존에도 자립지원 전담인력을 중심으로 법적 문제 등과 관련해 지원하고 있었지만 복잡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며 “변호사·노무사 등을 중심으로 한 솔루션 회의를 통해 문제가 생긴 자립준비청년들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