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참사’ 책임 규명 박차… 5곳 압수수색·실무자 대면조사

입력 2023-07-25 04:02
검찰 관계자가 24일 압수수색용 박스를 들고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참사 부실대응 의혹을 받는 충북경찰청 112상황실로 들어가고 있다(왼쪽). 검찰 관계자들이 정부세종청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검찰은 충북경찰청, 충북도청 등 관계기관 5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연합뉴스, 뉴시스

검찰이 충북 청주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와 관련해 부실·늑장 대처 의혹을 받은 5개 기관을 압수수색하고 관계자 조사에 착수했다.

검찰 수사본부는 24일 충북경찰청, 충북도청, 청주시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충북소방본부에 수사관과 디지털 포렌식팀을 보내 CCTV 기록 등 사고 관련 자료를 압수수색했다. 일부 기관에 대한 압수수색은 25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검찰 관계자는 “확인해야 할 자료가 방대해 25일에도 관계기관 압수수색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청주 흥덕경찰서와 오송파출소 등 산하기관을 포함하면 압수수색 대상은 10여곳에 달한다. 검찰은 압수수색과 동시에 관련 실무자를 불러 대면 조사도 진행했다. 충북 경찰의 경우 참사 발생 1시간 전 긴급 통제를 요청하는 112신고를 받고도 적절히 대처하지 않았고, 국무조정실 감찰 과정에서 이를 은폐한 혐의를 받는다.

앞서 국무조정실은 이날 충북도와 행복청 관계자 12명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국무조정실은 “충북도 (재난안전대책) 본부 및 도로관리사업소와 행복청 관계자의 중대한 직무유기 혐의가 발견돼 추가 수사 의뢰했다”고 밝혔다. 국조실 관계자는 충북도 본부 관계자 2명과 도로관리사업소 관계자 3명, 행복청 전 직원 4명 및 현 직원 3명을 대검에 수사 의뢰했다고 전했다. 충북도 본부와 도로관리사업소는 재난 대응, 행복청은 하천점용허가 등 감독 업무 관련 기관이다.

국조실은 지난 17일부터 참사 대응 관련 기관들을 상대로 감찰을 진행 중이다. 국조실은 다만 선출직 단체장에 대한 조사 권한이 없어 지역 재난 안전관리의 총책임자인 김영환 충북지사에 대한 감찰은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번 사고와 관련해 관계 기관이 책임을 떠넘기는 태도는 도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며 “사고 원인 규명과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해 달라.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않도록 수사 과정에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며 고 말했다.

충북도와 현지 주민 등은 행복청이 시행한 국도 36호선 미호강 임시 제방 부실 공사를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행복청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행복청은 지난 18일 “기존 자연제방 일부 철거, 임시제방 축조 등 공사의 전 과정에서 어떠한 불법 행위도 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대검찰청은 배용원 청주지검장을 수사본부장, 정희도 대검 감찰1과장을 부본부장에 임명했다. 2020년 7월 23일 부산 초량지하차도 침수 사망 사건 수사의 경험이 있는 조광환 중앙지검 중요범죄조사부장은 팀장으로 발탁해 검사 17명으로 구성된 수사본부를 꾸렸다. 검찰 수사와는 별도로 138명 규모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도 가동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 검찰과 경찰 수사 주체가 2곳이라 경합되는 부분이 있지만 긴밀히 협의해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권중혁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