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이 사회공헌 활동과 기후변화 예방에 앞장서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9월 그룹 차원의 ESG 방향성을 담은 ‘ESG 보고서’를 발간한 LG는 감사위원회 권한 및 독립성 강화 등 지배구조 개선과 탄소중립 등 환경 분야에 중점을 두고 ESG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구광모 LG 회장은 보고서의 최고경영자(CEO) 메시지를 통해 “국제 정세의 급격한 변화와 공급망 불안정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 매년 심각해지는 가뭄, 홍수, 온난화와 같은 미증유의 ‘초불확실성의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며 “LG는 기후위기 문제에 책임의식을 갖고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전환, 제품 폐기물 순환체계 구축 등을 위한 클린테크 육성투자 등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그룹의 ESG 경영 방향은 지향점인 ‘지속 가능한 미래’(Sustainable Future)와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식인 ‘책임 있는 사업’(Responsible Business)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LG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추진하며 글로벌 기후 위기에 동참하고 있다. 이를 위해 LG는 구체적인 탄소 감축 이행 목표를 담은 그룹 차원의 ‘LG 넷제로 특별 보고서’를 발간했다.
또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의 필요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직접 감축, 탄소를 직접 흡수·제거할 수 있는 산림 조성 등 상쇄사업 발굴, 기후 거버넌스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모니터링 강화 등의 탄소중립 4대 전략을 수립했다.
LG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 최초로 지주회사 체제를 도입해 상대적으로 지배구조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아온 데 이어, ESG 경영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지배구조 개선을 가속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 주주가치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