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한 적 없는 해외 발송 ‘괴(怪)소포’(사진)를 받았다는 신고 접수가 전국적으로 2000건을 넘어섰다. 국민 불안이 큰 상황인데, 무작위 테러 가능성은 낮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경찰은 소포 최초 발신지로 지목된 중국 측에 수사 공조를 요청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정체불명의 소포와 관련한 112신고가 23일 오후 5시 기준 전국에서 2058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중 645건을 수거해 조사하고 있다. 나머지 1413건은 오인 신고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20일 울산의 한 장애인복지시설에 기체 독극물이 든 것으로 의심되는 소포가 배달된 것을 시작으로 전국 곳곳에서 유사한 신고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울산에서 소포를 개봉했던 피해자 3명은 어지럼증과 호흡곤란을 느껴 병원 치료를 받았지만, 국방과학연구소 정밀분석 결과 소포에서 화학·생물·방사능 위험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대부분 소포의 발송지는 대만으로 표기돼 있지만 경찰은 최초 발송지가 중국 선전인 것으로 보고, 추적을 위해 중국 공안부에 공조를 요청했다. 독극물 등 테러 정황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경찰은 해외 판매자가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실적 부풀리기 등을 목적으로 주문하지 않은 물건을 무작위로 발송하는 ‘브러싱 스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대통령실도 상황점검회의를 열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주재로 진행된 회의에는 국가정보원과 외교부·경찰청·관세청, 우정사업본부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정체불명의 소포와 관련한 상황파악 및 대응체계 점검, 향후 대처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재환 정현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