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골프 세계랭킹 3위 리디아 고(26·하나금융그룹·사진)의 7벌타가 화제다. 사건은 지난 17일(한국시간) 막을 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다나오픈 마지막날 발생했다.
당시 대회 개최지인 미국 오하이오주 실베이니아 하일랜드 메도스GC에는 폭우가 쏟아져 코스 컨디션이 썩 좋지 않았다. 고심 끝에 대회조직위원회는 마지막 날 1번홀과 10번홀에 프리퍼드 라이(preferred lies·공 옮기는 것 허용)를 적용하기로 했다. 프리퍼드 라이는 공이 놓인 자리에서 도저히 경기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코스 상황일 때 적용하는 규칙으로 볼을 마크한 뒤 집어 올리고(lift) 닦아서(clean) 옮겨 놓고(place) 치는 것을 말한다.
발단은 리디아 고의 착각에서 비롯됐다. 그는 코스 전체에 이 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3·7·9번홀에서 공을 옮겨 놓고 쳤다. 그리고 11번홀에서도 공을 집어 들었다. 그런데 뭔가 낌새가 이상했는지 경기위원을 불러 자초지종을 물었고 그제서야 자신이 착각을 한 것을 알게 됐다. 결국 리디아 고는 앞서 세 홀에서 공을 다른 곳에 옮겨 놓고 친 규칙 위반에 대해 각각 2벌타씩 6벌타, 그리고 11번홀에서 공을 들어 올린 규칙 위반으로 받은 1벌타 등 총 7벌타를 받아야 했다.
프로들의 황당한 룰 위반 사례는 그 외에도 허다하다. 2021년 KLPGA 투어 삼다수 마스터스 2라운드에서 ‘미녀 골퍼’ 박결(27·두산건설)은 2벌타를 받았다. 9번홀에서 파퍼트를 하는 순간 약 1초 가량 캐디가 우산을 씌워준 게 원인이었다.
‘대세녀’ 박민지(25·NH투자증권)도 불명예스런 룰 위반이 있다. 2021년 하반기 첫 대회였던 대유위니아·MBN 여자오픈 1라운드 6번홀에서다. 박민지는 두 번째샷이 숲 쪽으로 날아가자 볼이 없어졌을 것으로 판단해 네 번째샷을 했다. 문제는 박민지가 동반자에게 ‘프로비저널 볼’을 선언하지 않은 채 샷을 한 것. 결과적으로 1벌타 처리됐다. 하지만 캐디가 숲 쪽 러프에서 원구를 찾으면서 사태가 더 커졌다. 원구로 플레이를 진행하던 박민지는 그린에 올라서고 나서야 뭔가 이상하다고 판단해 경기위원을 불렀다. 결국 박민지는 프로비저널 볼을 선언하지 않은 채 원구를 친 것에 대한 오구 플레이로 2벌타, 그린 앞으로 보낸 볼을 들어 올린 것에 대한 1벌 타 등으로 8온2퍼트로 홀아웃, 퀸튜플보기(더블파)를 적어냈다.
혹자는 말한다. 복잡한 골프 규칙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처리 방법을 모를 때 실수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나에게 불리한 쪽으로 처리하면 된다’라고. 주말골퍼들이 귀담아 들어야 말이 아닌가 싶다.
정대균 골프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