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일가 특혜 의혹’이 불거진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논란을 두고 정치권의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021년 4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양서면 종점안’(원안) 대신 ‘강상면 종점안’(대안)을 지난 5월 유력하게 검토하게 된 경위를 두고 여야가 격돌하는 중이다.
핵심은 김 여사 일가 땅이 있는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을 종점으로 하는 대안 노선이 튀어나온 시점이 언제인지 여부다.
국민의힘은 민주당 소속 정동균 전 양평군수가 대안을 먼저 꺼내 들었고, 대안이 언급된 시점도 문재인정부 시절이라며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하는 모습이다.
미국을 방문 중인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가 양평경찰서장을 해서 잘 안다”며 “양평 사람들이 강상면으로 해서 원주로 갈 수 있도록 (2021년 4월) 당시 민주당 지역위원장과 (정 전) 군수가 지역별 간담회를 하면서 ‘이걸 중앙정부에 건의해서 반영시키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 사무총장은 또 “(정 전) 군수는 심지어 ‘아내가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와 선후배라서 반영이 가능하다’고 했다”고 말했다. 대안 노선이 전 정권부터 추진됐다는 주장이다. 이 사무총장은 1998~2000년 양평서장으로 재직했고, 2011~2012년에는 경기지방경찰청장을 지냈다.
정 전 군수는 이 사무총장의 주장을 강하게 부인했다. 정 전 군수는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사무총장은 만나서 차 한잔도 해본 적 없는 사이인데 아주 허무맹랑한 소리를 한다”고 반발했다. 자신의 배우자가 김정숙 여사와 선후배 사이라는 언급에 대해서는 “대통령 부인에게 그런 얘기를 전할 수 있는 관계가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정 전 군수는 지난 11일 페이스북에선 “1조7000억원이 들어가는 국책사업을 군수가 일방적으로 주민 동의 없이 노선을 변경 요청했다는 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양평군이 문재인정부 시절인 2018년 2월 21일 공고한 ‘2030 양평군 기본계획’의 양평군 일대 지도에 ‘강상면 종점안’으로 보이는 노선이 표기돼 있는 점도 논란거리다. 이 지도에는 대안 노선과 흡사하게 경기 하남에서 남양평IC를 잇는 빨간 점선이 그려져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소속 박현일 전 양평군의원은 MBC라디오에서 “당초의 안(양서면 종점안)과 전혀 상관없는 개념안”이라며 정 전 군수나 당시 군의회의 뜻과는 무관하게 양평군 공무원들이 임의로 그은 점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문재인정부 말기인 지난해 3월 15일 선정된 용역업체(동해기술공사·경동엔지니어링)가 타당성조사를 진행한 점을 두고도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 업체는 지난해 3월 29일 용역에 착수해 5월 19일 ‘강상면 종점안’이 담긴 착수보고서를 국토부에 보고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