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기상이변으로 자연재해가 일상화됨에 따라 농작물 재해보험이 경영 안정망으로 제 기능을 하도록 제도 개선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농작물 재해보험은 안정적 농업 경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연재해로 농작물 피해가 발생했을 때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보험료의 90%를 국가와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다.
전남은 지난해부터 가입 보험료 지원율을 10% 올려 90%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율 인상에 따라 전남의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률은 62%, 14만㏊로 전국 평균 50%를 훨씬 넘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만6000 농가가 보험료 165억원(10%)을 납입하고 보험금 992억원을 받아 신속히 자연재해 피해를 복구해 농가경영에 복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는 보험 손해율 악화를 이유로 사과 배 단감 떫은감 등 과수 4종의 적과 전 발생 재해 보상수준을 80%에서 50%로 하향, 보험료 할증률 30%서 50%로 상향 운영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시·군, 농업인 등의 의견을 수렴해 실효성 있는 농작물 재해보험 운영을 위한 제도개선안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하고 나섰다. 주요 건의 사항은 과수 4종 적과전 보상수준 80%로 상향, 보험금 할증률 30%로 완화, 자기부담비율 15%로 인하, 병충해 보장 범위 확대 등이다.
강효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11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불거진 식량안보 위기와 일상화된 자연재해를 대비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실질적 보상수준을 담보하는 농작물 재해보험 운영이 필요하다”며 “제도 개선이 이뤄지도록 정부에 강력히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