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관련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수출형 신형연구로’ 건설 사업 과정에서 신고를 누락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행정처분을 받게 됐다. 연구원이 운영하는 연구형 원자로가 최근 1년간 5차례나 멈추는 등 크고 작은 문제까지 계속 발생하면서 철저한 안전 관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일 정부에 따르면 원안위는 연구원이 부산 기장 지역에 신형 연구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원자력안전법 30조와 35조를 위반했다고 보고 행정처분을 검토하고 있다. 기장 연구로는 수입에 의존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자급하고 연구로 수출까지 목표로 하는 15㎿(메가와트)급 연구용 원자로다. 해당 원자로는 지난 5월 기초 굴착 공사를 시작했고, 현재 본격적인 구조물 공사에 착수했다.
원안법에 따라 원자로 건설허가를 받으려면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등을 정부에 제출해야 하고, 경미한 사항 변경 시 이를 신고해야 한다. 연구원 측은 “지난해 12월 원장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신고를 누락하는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미 연구원은 원안위로부터 여러 차례 행정처분을 받았다. 원안위는 상습적으로 방사성 폐기물을 임의로 태우고,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을 빗물관 등으로 몰래 흘려보낸 혐의로 2017년 연구원을 대상으로 1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연구원은 2018년에도 허가받지 않은 시설에서 핵연료 물질을 보관하고, 서울연구로 해체 과정에서 나온 전선을 무단으로 처분해 7500만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연구원이 운영하고 있는 원자로를 둘러싼 안전 문제도 잇따르고 있다. 대전에 있는 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는 최근 1년간 5번이나 가동을 중단했다. 지난해 4월, 7월, 11월에 멈춰섰던 하나로는 지난 2월, 5월에도 정지됐었다. 설비 고장 등의 이유 때문이다.
하나로는 1995년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설계·건조된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설계 수명이 30년인 상업용 원자로와 달리 연구용인 하나로는 설계 수명이 없어 28년 동안 가동 중이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에서는 하나로의 안전성에 우려를 표하며 폐기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연구원장 직은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맡고 있다. 주 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원자력 멘토’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7월 첫 공식 행보로 주 교수의 서울대 연구실을 찾아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청취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