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50억 클럽’ 의혹을 받는 박영수(사진) 전 특별검사 구속영장이 기각된 이후 검찰이 대장동 개발업자와 박 전 특검 측근을 연이어 불러 조사하고 있다. ‘봐주기 수사’ 지적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의혹 규명을 위한 보강 수사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검찰은 박 전 특검 구속영장 재청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10일 화천대유자산관리 이사 박모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검찰은 박씨를 상대로 화천대유가 박 전 특검에게 지급한 2억원 상당의 고문료와 박 전 특검 딸이 받아간 대여금의 성격 등을 따져 물었다. 화천대유 직원이던 박 전 특검 딸은 회사에서 2019~2021년 5차례 모두 11억원을 빌렸고, 화천대유에서 분양받은 아파트로 7억~8억원의 시세차익을 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업자들에게서 거액의 금품 제공을 약속받고, 딸을 통해 우회 전달받은 건 아닌지 의심한다.
검찰은 지난 7일 박 전 특검의 측근 허모(49) 변호사도 참고인으로 조사했다. 허 변호사는 박 전 특검과 2014~2015년 법무법인 강남에서 함께 일했다. 이 시기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며 민간업자로부터 우리은행의 대장동 컨소시엄 참여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다. 허 변호사는 2016 년 국정농단 사건 특검팀에서 특별수사관을 지냈고 2021년 50억 클럽 의혹이 제기됐을 때 박 전 특검의 법률 대리인을 맡았다.
검찰은 대장동 민간업자들도 추가 조사하는 등 보강 수사를 진행한 뒤 박 전 특검 구속영장 재청구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팀은 당초 알려지지 않았던 (대장동 일당의) 200억원 약속,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선거 과정에서의 금품 수수 등 중대 혐의를 추가 확인했다”며 “강도 높은 보강 수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검찰 간부는 “검찰이 박 전 특검을 봐주기 수사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구속영장 기각은 수사팀으로서도 당혹스러운 부분”이라고 했다.
신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