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 폐막 이후에도 문화·예술축제가 연말까지 이어진다. 붓과 묵의 향연인 국제수묵비엔날레와 실용적 디자인을 위주로 한 디자인비엔날레가 바통을 넘겨받는다.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2023 전남 국제수묵비엔날레’가 ‘물드는 산, 멈춰선 물’이라는 주제로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묵의 본향으로 일컫는 목포와 진도 등 전남 곳곳에서 펼쳐진다.
‘숭고한 조화 속에서’를 부제로 한 국제수묵비엔날레에는 세계적 수준의 10개국 160여명의 유명 작가가 참여한다. 이들은 종이, 비단 등에 붓, 먹, 채색 등의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는 수묵 세계의 진수를 보여준다. 여기에 첨단 기술의 미디어아트를 적극 접목하고 전통수묵과 현대수묵의 조화를 꾀한다.
수묵패션쇼, 수묵콘서트, 대학수묵제, 수묵아트페어 등 먹의 농담을 기본으로 수묵의 다양한 매력을 뽐내는 온·오프라인 부대행사도 곁들여진다. 총감독은 이건수 미술평론가가 맡았다.
도는 일선 지자체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돕고 더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기 위해 국제수묵비엔날레의 외연을 넓혔다고 밝혔다.
우선 목포문화예술회관,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목포대중음악의전당 등 목포 3곳과 남도전통미술관, 운림산방, 진도향토문화회관 등 진도 3곳에서 수묵 본연의 가치를 엿볼 수 있는 주 전시를 연다. 순천, 나주, 광양, 해남, 구례, 보성, 화순, 장흥, 강진, 영암, 무안, 함평, 완도에서도 지역축제 등 관광자원과 연계한 20개의 특별 기획전시를 덧붙인다.
전남 전역을 수묵예술의 거점으로 엮어 한국 수묵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국내외 방문객을 유치해 K-컬쳐를 선도하는 수묵 콘텐츠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방안이다. 도는 국제수묵비엔날레가 간결하면서도 정교한 흑백 수묵의 장중함과 함께 현대수묵의 화려함, 입체감, 생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에서는 94일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막을 내린 현대미술 분야에 이어 디자인 비엔날레가 다시 열린다.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9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62일간 광주비엔날레 본 전시관에서 ‘디자인을 만나다’를 주제로 개최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