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무리하더니… 새마을금고, 이번엔 심상찮다

입력 2023-07-07 00:03
한창섭(오른쪽) 행정안전부 차관이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MG새마을금고 건전성 관련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예금자보호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한 차관은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MG새마을금고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예견됐다. 새마을금고는 경쟁이 치열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면서 지방 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대출금을 내줬는데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부실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임직원 횡령 등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문제까지 겹치며 금융사에 가장 중요한 ‘고객 신뢰’를 잃었다는 평가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단기간에 부동산PF 규모를 무리하게 키웠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가 안정된 뒤 증권업계를 중심으로 일부 금융사가 부동산PF를 바탕으로 큰돈을 벌어들이는 모습에 매료돼 새마을금고도 후발 주자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부동산PF 노하우와 네트워킹이 부족했던 새마을금고는 수도권 아파트 등 A급 사업장 대신 지방 오피스텔과 단지형 빌라, 전원주택 등 대출액이 500억원을 넘지 않는 소규모 사업장에 집중하는 전략을 폈다. 대형 증권사가 외면하는 시장에서 급격히 세를 불린 것이다. 그 결과 2019년 말 27조2000억원에 불과했던 새마을금고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56조3000억원으로 배 이상 급증했다.


이런 B·C급 사업장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자 먼저 고꾸라졌다. 2019년 말 2.5%에 불과했던 새마을금고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4.1%로, 지난해 말 7.7%로 급등했다. 올해 1월 말에는 9.2%까지 치솟았다. 대출 연체액 역시 지난해 말 4조3000억원에서 올해 1월 말 5조2000억원으로 한 달 새 9000억원이나 폭증했다.

새마을금고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 지표는 더 나빠질 전망이다. 현재 공사가 지연된 사업장에 나간 상당수 대출의 만기가 연장돼 현재 연체 지표에 반영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새마을금고 지점 12곳에서 3000억원에 가까운 대출금을 내줬던 대구 다인건설 오피스텔 시공 사업장은 건설사 사기분양 혐의와 자금난 등이 겹쳐 4년 가까이 공사가 지연된 상태지만 지금 연체 지표에는 빠져 있다.


새마을금고는 임직원 비리와 미숙한 운영이 겹쳐 비리 사고도 잦았다. 금융 당국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새마을금고 임직원에 의해 발생한 횡령과 배임, 사기, 알선수재는 85건으로 피해액만 641억원에 이른다. 이 중 35%인 226억원만 회수됐다. 지난해 6월에는 새마을금고 직원과 내통해 큐빅을 다이아몬드로 속여 380억원을 빌린 일당이 구속되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는데 내부통제 시스템에서는 이를 걸러내지 못했다.

새마을금고의 뱅크런을 막기 위한 방안은 마땅치 않다. 지점 파산 우려와 관련해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중도 해지한 예·적금을 2주 이내에 다시 맡기면 비과세 혜택과 약속했던 금리를 그대로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새마을금고에 뱅크런 위기가 닥쳤던 2011년 내놨던 것과 똑같은 대책이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