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오는 12일 리투아니아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양자 회담을 갖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이후 40여일 만이자 올 들어서만 네 번째다. 비록 다자회의 참석을 계기로 이뤄지는 양자 회담이지만 셔틀외교 복원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번 회담은 특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에 따른 한국 국민들의 불안 해소와 관련해 두 정상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 것인지가 초점이 될 것이다.
오염수 처리 방식이 안전하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 공개 이후에도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오염수 방류 반대 목소리를 더욱 키우고 있다. IAEA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친 오염수가 30년에 걸쳐서 바다에 방류되는 것이 정말 괜찮을지 우려되기는 한다. 비록 후쿠시마 방사능 유출 사고 이후 12년 동안 수입 수산물에서 방사능이 검출된 경우가 한 번도 없었지만 이번 방류가 해양 생태계에 어떤 복잡계적인 유해 반응을 불러올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현재까지 검증된 방식으로는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정도다. 그러나 지금 야당의 반대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사실에 입각한 것이라기보다 맹목적인 반대에 가깝다. 방사능 물질 그 자체에 대한 과도한 공포심 조장은 자제해야 한다. 대기 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 가스는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일정 밀도 이상 누적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이다. 지리산 상공에서 라돈 가스가 포집됐다면 그렇게 겁먹을 일은 아니다.
하지만 IAEA 보고서 하나로 한국 국민들의 불안을 잠재우기에는 충분치 않다. 일본은 일방적인 스케줄을 갖고 방류를 서두르기보다 한국 등 주변국의 불안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더 많이 해야 한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국민들의 불안과 염려를 가볍게 보면 안 된다. 그가 얼마나 진정성 있는 제안과 설명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