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절반 이상은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최고경영자(CEO)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을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제출한 205개 기업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승계 정책 관련 내용을 보고서에 명시한 기업은 102곳(49.8%)에 그쳤다고 5일 밝혔다. 승계정책을 운용하고 있다고 보고한 기업은 96곳(46.8%)으로 집계됐다. 2개 중 1곳은 문서상 승계 정책을 명시하지 않았거나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3월 기업지배구조 의무공시 대상을 자산총액 1조원 이상 상장법인으로 확대하면서 개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CEO 승계에 관한 형식적 정보 나열이 아니라 승계정책 수립·운영, 후보자 선정·관리·교육 등 5개 항목의 주요 내용을 기재하도록 했다. 또한 실행 여부를 명확히 한 경우에만 원칙을 준수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131개(63.9%) 기업은 CEO 후보자 선정과 관련한 내용을 보고서에 명시했다. 후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업은 122곳(59.5%), 후보자 관리와 관련한 내용을 보고서에 담은 기업은 95곳(46.3%)이었다. 승계 관련 5개 항목을 모두 준수한 기업은 61곳에 그쳤다. 5개 항목에 대한 명확한 문서화나 기준 없이 모두 준수하지 않는 기업은 54곳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LG그룹의 경우 8개 계열사가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제출했다. 이들 계열사는 CEO 승계와 관련해 평균 4.5개 항목을 준수했다. SK그룹 8개 계열사는 평균 4.25개 항목을 준수했고,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 11개 기업의 평균 준수 항목은 4.2개였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