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 내용을 접한 어민과 환경단체들은 “보고서가 우리에겐 비용청구서”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기삼 전국어민회총연맹 사무총장은 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어민은 이제 몰살이다. 국민이 우리 수산물을 안 먹으면 어민들이 갈 데가 있느냐”며 “어촌마을 대부분이 고령화돼 있는데 어업이 아니면 어떤 일을 하라는 말인가”라고 토로했다. 어민들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곧 수산물 소비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며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사무총장은 “생계형 어업이 망하게 생겼는데, 총파업을 하자는 목소리가 안 나오겠나”라고 했다.
시민사회는 IAEA의 보고서만 갖고는 오염수 방류를 허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IAEA의 보고서가 오염수 방류로 인한 예상 피해를 정확히 평가 및 검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오염수 유해성을 둘러싸고 전문가들의 의견도 갈리는 상황에서 IAEA 발표만으로 오염수 투기에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시스템인)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가 방사성 물질을 거를 수 있는지가 핵심 쟁점인데 성능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알프스 설계 수명이 언제까지인지, 고장 났을 때의 대책 등 장기 계획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활동처장은 “IAEA도 오염수 정보를 일본 동의 없이 얻기 힘든데,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라며 “몇십 년 동안 바다와 먹거리 조사를 위해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IAEA 보고서는 사실상 비용청구서다”고 지적했다.
김재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