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4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을 검증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보고서에 대해 안전성 검증이 없는 ‘깡통보고서’라고 비판하며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민주당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저지 대책위원회 위원장인 위성곤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보고서를 여러 전문가와 검토한 결과, 후쿠시마 핵폐수 안전성을 검증 못한 깡통보고서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IAEA는 검증 책임을 사실상 방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핵폐수를 정화한다는 다핵종제거설비(ALPS)에 대한 성능 검증은 전혀 없었다”며 “IAEA가 시료 채취한 오염수 분석 내용 역시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세계인과 대한민국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전혀 기여하지 못한 보고서”라며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의견을 받아 쓰고, 책임은 모두 일본에게 있다고 말하는 깡통보고서에 윤석열정부는 국민 안전을 맡길 수 있겠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일본 오염수 방류 현실화에 대비해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기로 했다. 기존 대응 기구들을 총괄하는 종합상황실 개념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IAEA 보고서 발표로 오염수 대응의 챕터가 달라졌다”며 “대책단 활동, 단식투쟁, 방일투쟁은 물론이고 원내에서의 입법과 해외 국가들과의 협력 등 대응 노력을 체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오염수 관련 청문회 개최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여당과 합의되지 않을 경우 야당 단독으로라도 개최를 요구할 계획이다. 또 국회 상임위 회의를 최대한 많이 열어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이 IAEA 보고서가 나오면 청문회를 열겠다고 했는데, 조건이 충족됐기 때문에 충분히 협의될 것이라 본다”며 “상임위 회의도 여당과 협의가 안 되면 독자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곳만이라도 열자는 이야기가 비공개회의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오염수 방류로 국내 수산업계가 볼 피해를 보상하는 별도 입법에도 나설 방침이며, 태평양 도서국들과의 오염수 공동 대응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5일 긴급 최고위원회의와 비상 의원총회를 열어 보고서 분석 내용을 공유하고, 이런 대응 방안들을 구체화시킬 계획이다.
이동환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