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칼로리’ 음료수 핵심 재료 ‘아스파탐’ 발암 물질 포함 예정

입력 2023-06-30 04:05
기사와 직접적 관련은 없는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탄산음료 등에 들어가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이 다음 달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분류하는 ‘발암 물질’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아스파탐은 ‘제로 콜라’ 등 제로 칼로리 음료의 핵심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IARC는 이달 초 외부 전문가 회의를 열고 아스파탐을 다음 달 14일 ‘사람에게 발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2B)로 확정하기로 했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 2명을 인용해 “모든 증거를 바탕으로 잠재적 유해성 여부를 평가한 뒤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IARC는 화학물질 등 여러 환경 요소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스파탐이 분류된 2B군은 인체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다.

WHO 산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도 IARC와 같은 날 안전 소비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JECFA는 아스파탐이 허용된 일일 한도 내에서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발표해왔다. 예컨대 체중이 60㎏인 성인은 음료에 함유된 아스파탐의 양에 따라 매일 12~36캔의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에 처할 수 있다. 하지만 IARC가 아스파탐을 2B군으로 지정하면 JECFA의 기준에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음료 업계에선 ‘제로 칼로리’를 내건 탄산음료와 껌 등이 히트 상품으로 효자 노릇을 했던 만큼 반발하는 목소리가 클 것으로 보인다. 코카콜라 계열사인 제과 업체 ‘마스 리글리’ 등이 회원사로 소속된 국제감미료협회(ISA)의 사무총장 프란시스 헌트-우드는 “IARC는 식품 안전 기관이 아니며 이번 검토는 과학적으로 불신받는 연구에 크게 의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음료협회 전무이사 케이트 로트먼은 “설탕을 불필요하게 더 많이 섭취하도록 소비자들을 오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결정은 인공 감미료의 안전성뿐 아니라 IARC의 역할에 대한 논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