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자국 내에 배터리 제조공장을 짓는 기업에 최대 수조원의 보조금 지급을 추진한다고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이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보조금 제도를 잇달아 도입하는 가운데 인도도 ‘배터리 전쟁’에 뛰어드는 모습이다.
FT가 입수한 인도 전력부의 관련 계획 초안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올해부터 2030년까지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는 기업에 모두 2160억 루피(약 3조4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안을 마련하고 있다. 앞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탈석탄’을 추진하면서 인도에 2030년까지 500GWh의 재생에너지 용량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화석연료는 현재 인도 전력 생산에서 약 4분의 3을 차지한다.
인도 전력부는 문서에서 배터리 공급망 확대 추진 이유로 국제 여론과 환경오염 우려 등으로 석탄발전소 추가 건설이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 또 배터리 수입에서 대(對)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도 자국 내 배터리 공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문서는 “배터리 제조 능력을 구축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이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수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인도의 현 보조금 제도는 주로 전기차용 배터리가 대상이다. 반면 새로 계획하는 보조금은 전력 공급망(그리드)에 사용되는 배터리 생산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라지 쿠마르 싱 인도 전력부 장관은 최근 FT와의 인터뷰에서 “인도는 저장 장치를 포함해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재생에너지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