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50억 클럽’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박영수(사진) 전 특별검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지난 22일 비공개 소환조사 후 나흘 만이다. 박근혜정부의 국정농단 사건을 맡아 ‘가장 성공한 특검’이란 평가를 받던 박 전 특검은 대장동 비리에 연루돼 구속 기로에 놓였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26일 박 전 특검과 측근인 양재식 변호사에 대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 관계자는 “범행 수법이 불량하고 중형 선고가 예상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증거인멸 정황 등을 고려해 구속수사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11∼12월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 민간업자들로부터 우리은행의 성남의뜰 컨소시엄 참여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용 여신의향서 발급 등을 청탁받고 그 대가로 대장동 토지보상 자문수수료, 대장동 상가 시행이익 등 200억원 상당의 이익과 단독주택 2채를 약속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박 전 특검은 2014년 말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에 출마했을 당시 선거자금 명목으로 3억원을 수수한 혐의도 받는다.
검찰은 또 박 전 특검이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 등 민간업자들에게 우리은행 여신의향서 발급 청탁 대가로 2015년 4월 5억원을 받고, 50억원 상당의 이익을 약속받은 혐의도 적용했다.
검찰은 현재까지 박 전 특검이 실제로 받은 액수는 8억원으로 파악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딸을 통해 우회적으로 50억원을 수수한 것이 아닌지도 살펴보고 있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에서 11억원을 빌렸고, 2021년 6월 화천대유가 소유한 대장동 아파트를 분양받아 수억원의 시세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전 특검은 검찰 재직 동안 ‘강력통’ ‘특수통’ 검사로 이름을 날렸다. 대검 강력과장, 서울지검 강력부장과 서울지검 2차장검사 등을 거쳐 대검 중앙수사부장을 지냈다. 2009년 서울고검장을 끝으로 검찰을 떠났다가 2016년 국정농단 특검으로 임명됐다. 박 전 특검은 당시 한직으로 좌천돼 있던 윤석열 대통령을 특검 수사팀장으로 발탁했다.
하지만 박 전 특검은 2021년 7월 수산업자를 사칭한 김모씨에게 포르쉐 렌터카를 받은 의혹이 불거지면서 특검팀 출범 4년 7개월 만에 불명예 사퇴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그를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이어 대장동 개발 비리에 깊숙이 관여한 정황까지 나오면서, 이제 구속 여부를 두고 법정에 서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