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라면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 식의 동화적이고 상투적인 천국 이해를 탈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천국에서 성도는 지상의 기억 의식 정체성을 잃지 않으며, 스스로 그리스도 안에서 행복을 누리는 주체가 됨을 강조하는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사진)의 천국론이 소개됐다.
김성태 한국선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6일 경기도 안양 열린교회(김남준 목사)에서 열린 제10차 한국 조나단 에드워즈 콘퍼런스에서 “미국의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중심인물인 에드워즈는 개혁주의 토대 위에서 자신의 지적 능력, 통찰력, 풍부한 상상력으로 천국에 관해 설득력 있게 진술한다”며 “완성된 천국에서 성도는 지상에서 살아낸 자신의 삶을 의식하며 천국에서 수용할 수 있는 생각과 기억을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성도는 성향과 개성 그리고 진정한 자유를 갖게 된다. 지상에서 겪었던 고통 괴로움 우울감 중압감 등이 영원히 없다”고 소개했다.
김 박사는 “이런 이해는 천국을 소망하며 살아가는 성도의 현재 삶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한다”며 “성도는 천국을 지금과 상관없는 아주 먼 미래 사건으로 밀어내지 말아야 한다. 이 세상을 성도답게 성실히 살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3년 출범한 한국 조나단 에드워즈 콘퍼런스는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콘퍼런스 디렉터인 심현찬 미국 워싱턴트리니티연구원장은 “에드워즈를 정면교사(正面敎師) 삼기 위해 시작한 콘퍼런스가 앞으로도 교회를 섬기고 새롭게 하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안양=손동준 조승현 기자 sd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