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침수돼도… 경찰·소방은 서울 8개구 CCTV 못 본다

입력 2023-06-26 04:05
서울 강남역 사거리 일대가 지난해 8월 9일 오전 출근시간대에 전날 밤 폭우로 침수된 차량과 출근길 차량이 뒤엉켜 극심한 체증을 빚고 있는 모습.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집중된 폭우로 서울 강남구 일대 도로 곳곳에 물이 급격하게 차오르자 운전자들은 다급히 차량을 버리고 빠져나갔다. 최현규 기자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 8개 구에서 사건·사고 등 긴급상황에서도 경찰과 소방이 여전히 지방자치단체의 CCTV를 실시간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CCTV는 긴급상황 발생 시 경찰·소방의 빠른 대처를 위해 필요하다. 특히 올여름은 엘니뇨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침수 같은 재난에서 현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해 통합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자체 CCTV가 경찰·소방과 연결되지 않은 곳은 중구 강동구 광진구 성북구 강북구 금천구 영등포구 용산구 총 8개 구다.

영등포구는 지난해 8월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피해가 컸던 곳이다. 영등포구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폭우 피해 신고건수는 6462건이었다. 침수 같은 재난에선 현장 상황 파악이 중요하지만 재난 특성상 현장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대신 CCTV 등으로 실시간 상황 파악이 가능하다. 장마철을 앞두고 통합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서울시는 2019년 6월 지자체별로 분산해 운영 중인 CCTV를 시 중심으로 통합해 활용하는 ‘스마트서울 CCTV안전센터’를 구축했다. 또 긴급상황에서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지자체의 CCTV통합관제센터와 112·119상황실을 연결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도 시작했다.

통합플랫폼이 구축된 지자체는 경찰과 소방 당국이 지자체의 CCTV를 볼 수 있다. 사건·사고 신고를 받은 경찰과 소방 당국이 내부 시스템에 사건 접수를 하면 동시에 입력된 주소 인근의 CCTV가 자동 연결되는 식이다. 신고 접수와 동시에 현장 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대응이 가능하다.

첫해인 2019년 2개 자치구를 시작으로 2020년 8개, 2021년 15개로 늘려나갔다. 하지만 이후엔 속도가 나지 않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도 2곳이 추가되는 데 그쳤다. 예산 문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했던 용산구도 여전히 통합플랫폼 설치가 돼 있지 않다. 한 경찰 관계자는 “만약 용산구에 통합플랫폼이 설치돼 있었다면 이태원 참사가 벌어졌을 때 좀 더 대응을 빠르게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경찰 관계자는 “지자체의 CCTV통합관제센터에 파견된 경찰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는 등 스마트시티를 대체할 방법이 있긴 하다”면서도 “그래도 시간 싸움을 하는 처지에서 도입이 빠르게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