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를 시작으로 올여름 장마가 본격 시작됐다. 수도권에도 최대 100㎜의 비가 내리면서 전국이 장마철에 접어들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25일 제주도와 전라·경남권에서 시작된 장맛비는 27일까지 전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전날 제주도와 전남 해안 등에 시간당 40~60㎜의 비를 뿌린 정체전선이 점차 북상하면서 전국이 장마 영향권에 들 것이라고 예보했다.
정체전선의 움직임에 따라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지역도 조금씩 바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방은 26일 출근길부터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많이 내리는 곳은 100㎜의 비가 쏟아지겠다. 26일 충남 서해안까지 호우특보가 확대되고, 수도권 일부도 특보 지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26일 밤부터 27일 오전까지는 남부지방과 제주에 다시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산지의 경우 27일까지 최대 500㎜ 이상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 전체로는 100~300㎜의 비가 내리겠다. 그 외 남해안·지리산 지역 강수량은 시간당 40~60㎜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장맛비는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할 전망이다. 지난 24일 서해안에는 풍랑주의보가 발표됐는데, 정체전선이 북상함에 따라 서해 중부 해상과 동해상에서 풍랑특보가 내려질 수 있다. 특히 26일 서해안의 경우 풍속이 시간당 55㎞ 이상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장맛비는 이번 한 번에 그치지 않고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전국에 재차 비를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는 장마철 폭우 대비에 돌입했다.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막힌 빗물받이’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신고는 안전신문고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할 수 있다. 안전신고 유형 중 ‘도로, 시설물 파손 및 고장’을 선택하고 위치와 함께 사진이나 동영상을 첨부하면 된다. 쓰레기, 흙, 덮개 등으로 막혀 있는 빗물받이 현장을 신고하면 관할 지자체로 자동 전송된다.
김재환 기자, 세종=박상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