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 유니콘 키운다… 민관 합동 145兆 투자

입력 2023-06-23 04:03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4차 2050 탄소 중립 녹색성장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이른바 ‘기후테크’ 산업 육성에 나섰다. 민관 합동으로 2030년까지 150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통해 기후테크 분야 수출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고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수익을 창출하면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에 이바지하는 혁신기술을 뜻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기후테크 산업에 145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키로 했다. 이를 통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기업) 10곳을 육성하고, 신규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할 방침이다.

우선 정부는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펀드와 초격차 펀드를 신설해 4000억원 넘는 정책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기업형벤처캐피털(CVC)과 임팩트 투자 등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 연계한 20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도 활성화한다.

융자보증 등 기후금융도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민간 5대 금융그룹의 약 135조원 투자도 유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기후테크 인증’과 환경부가 관리하는 ‘K-택소노미 인증’ 등 부처별 제각각인 산업 인증 제도를 정비해 투자 장벽을 낮추기로 했다. 또 유망 기후테크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1조원 규모의 기후문제 해결형 대규모 연구개발 신설도 추진한다.

정부는 혁신조달 연계 등을 통해 기후테크의 조속한 사업화를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혁신조달은 민간의 혁신성장을 위해 정부가 공공 영역의 구매력을 활용해 혁신 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한 총리는 “기후테크 산업은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분야”라며 “기업과 항시 소통하며 국내외 시장개척 지원 등을 중점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