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가 소아청소년 중증질환 필수 의약품의 장기 품절 사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아동병원협회는 20일 서울 마포구 대한병원협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4개 아동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필수 의약품 수급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동병원은 동네 소아청소년과 의원과 상급종합병원 사이에서 허리 역할을 하는 아동 의료기관이다.
조사에 따르면 뇌전증 발작 억제 유지약(데파코트 스프링클제형·파이콤파 현탁액), 터너증후군 치료제(프레미나정), 성조숙증 필수 진단 시약(렐레팍트 LH-RH 고나도렐린아세트산염), 성조숙증 치료 주사약(데카펩틸 주사약), 소아청소년 천식 치료제, 항생제, 독감 치료제 등 141개 필수 의약품이 짧으면 2주에서 길게는 1년 이상 품절이거나 수시로 품절되고 있는 상황이다.
터너증후군 소아에게 투여되는 호르몬약인 프레미나정(0.3㎎)의 경우 국내에서 해당 질환과 관련해 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유일한 약인데, 역시 품절 상태라 환자와 부모들의 고통이 크다고 협회는 전했다.
최용재 협회 부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소아 중증질환 진단·치료에 꼭 필요한 필수약이 품절돼 환자들의 고통이 계속되고 있다”며 “약 품절로 치료 결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길어지고 언제 해결될지 기약도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에 함께 참석한 새고은 메디컬약국 박소현 약국장은 “최근 약국가는 품절약과의 전쟁”이라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중증 필수약뿐 아니라 항생제, 해열제, 변비약 등 다빈도 처방약도 정상적으로 처방 조제하기가 어려워 매일 제약사와 도매상에 사정하는 일이 일상이라는 것이다.
김유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