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곳곳에서 이상 기후로 막대한 피해가 보고되면서 각국이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스위스 정부의 ‘기후 및 혁신 법안’이 이날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59.1% 지지를 얻어 통과됐다. 이 법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넷제로)’를 달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기·가스·석유 난방 시스템을 히트펌프와 같은 환경친화적 제품으로 교체하는 주택 소유주에게 10년 동안 32억 스위스프랑(약 4조5868억원)을 지원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이 기후법안은 2021년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부결됐다가 최근 다시 제출됐다. 찬성 측에서는 “부유한 국가가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겠다는 약속을 증명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강조했다. 반대 측은 “이 법이 에너지 안보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스위스의 평균 기온은 지난 150년 동안 전 세계 평균의 두 배인 2.5도 상승했다. 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세계자연기금(WWF)은 “이번 투표 결과는 스위스 국민이 그 어느 때보다 기후 위기 해결에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기후법안에 담긴 내용이 신속하게 이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9일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를 방문해 6억 달러(약 7692억원) 규모의 기후 관련 프로젝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CNN에 “5억7500만 달러는 폭풍 해일, 홍수 등으로부터 지역 사회를 보호하는 데 쓰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산불 대응을 위한 전력망 현대화 사업에도 약 1700만 달러가 투입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4일 4개 주요 환경단체와의 만찬 자리에서 “기후변화는 실존하는 유일한 위협”이라며 “우리가 살펴보고 있는 (기후 위기 대책과 관련한) 요구 사항들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진짜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주에서는 정부가 계획한 넷제로 도달 시점을 계획보다 10년 이상 앞당겨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WWF 의뢰로 작성된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를 1.5도 이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는 2035년까지 2005년 탄소 배출의 90%를 감축해야 한다. 연구를 진행한 기후자원(Climate Resource)의 말테 마인하우젠 부교수와 제베디 니컬스 박사는 “넷제로 시점은 (정부 계획보다 10년 이상 빠른) 2038년이 돼야 한다”며 “우리가 가진 모든 선택지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