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백씨처럼 고가의 소비를 즐기는 이들이 한국 사회의 다수인 건 아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은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인상될 때 연평균 8만4000원의 소비를 줄였다. 지출 감소 폭은 부채가 있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컸다. 기준금리 1% 포인트 인상을 기준으로 빚이 있는 이들의 연간 소비가 13만2000원 줄어들 동안 대출이 없는 이들의 소비는 2만원만 줄었다. 20대가 29만9000원, 30대가 20만4000원을 덜 쓸 때, 60대 이상의 소비는 3만6000원만 감소했다.
초고가 소비는 결국 윤택한 계층이 주도하며, 같은 연령대 속에서도 소비의 양극화가 나타난다. 20~30대 청년 중 부채가 없고 소득이 4·5분위인 고소득층은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오를 때 연간 소비가 5만4000원 늘었다. 20, 30대가 평균 20만~30만원의 소비를 줄인 것과 대비된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 시기에 순저축자는 오히려 상황이 좋다. 그런 경우 소비를 늘릴 여력이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편으로는 절약을 통해 초고가 소비를 하는 흐름도 발견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극도로 비용을 줄이는 소비 형태, 비용 절감을 바탕으로 초고가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 소비 양상이 양립한다”고 했다. 수입차를 파는 A씨는 “점심값 아끼며 벤틀리를 타는 이가 있다”고 했고,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도 “점심엔 삼각김밥을 먹으며 ‘샤넬’ 오픈런을 가는 학생이 있다”고 했다. 이 모습에는 개성적 소비 성향, 타인을 신경쓰는 집단주의, SNS의 활성화 등 다양한 원인이 녹아 있다.
문제는 양극화 속에서 서로의 소비를 관찰하며 나타나는 박탈감이다. 김경자 가톨릭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득 분배의 양극화가 이전보다 심해지면서 무리를 해서 ‘작은 사치’를 하는 것조차 불가능한 사람은 사회에 불만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각 개인에게 스며든 박탈감의 결론 가운데 하나는 엉뚱하게도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에의 투자였다.
이슈&탐사팀 김지훈 정진영 이택현 이경원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