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6~7월 중 물가상승률 2%대 전망… 하반기 경제정책 ‘경기부양’으로 바뀌나

입력 2023-06-19 04:07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7월 중 2%대의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나타날 수 있다고 18일 전망했다.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하면서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기조를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추 부총리는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물가가 전반적인 수준에서 서서히 안정을 찾고 있다”며 “6~7월에는 2%대 물가에 진입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물가 안정 전망을 내놓으면서 라면 가격 인하를 권고했다. 그는 “지난해 9~10월 라면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현재 국제 밀 가격이 그때보다 50%가량 내렸다”며 “기업들이 그에 맞춰 적정하게 소비자 가격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정부가 하나하나 개입해서 원가 조사를 하고 가격을 통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소비자 단체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견제하고, 가격 조사 등으로 압력을 행사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경제부처 수장이 특정 품목의 가격 인하를 압박한 것은 이례적이다.

추 부총리는 최근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이른바 ‘베팅 발언’과는 별개로 한국이 제1 교역국인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이어가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전세가격 하락에 따른 역전세 문제에 대해선 “다음 세입자가 선순위 대출에 걸리지 않도록 집주인이 전세 반환보증을 받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집주인이 전세 차액을 반환하는 부분에 한해 대출 규제를 완화해 집주인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수출은 3분기 이후로 가면서 서서히 좋아질 것”이라며 경기 회복 가능성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수출과 고용 시장을 중심으로 지표 개선 징후가 나타나면서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 무게 중심이 경기 부양에 맞춰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세수 부족 탓에 경기 대응 수단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