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뒷담] 금감원의 ‘정보수집전담반’… 제2 ‘檢 범죄정보기획관실’?

입력 2023-06-19 04:04

금융감독원이 불공정거래 조사역량 강화 차원에서 신설한 ‘정보수집전담반’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이 조직이 검찰의 범죄정보기획관실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검사 출신 이복현 금감원장의 눈높이에 맞는 정보 수집이 가능할지 걱정하거나, 지나친 역할 확대를 우려하는 내부의 목소리도 크다.

금감원은 지난달 말 조사 3개 부서 인력을 70명에서 95명으로 늘리고 특별조사팀·정보수집전담반·디지털조사대응반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신설 조직 중 가장 관심을 끈 정보수집전담반의 역할은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불공정거래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4명으로 꾸려질 예정인 정보수집전담반은 대검 범죄정보기획관실의 금감원판 조직이라는 해석이 많다. ‘범정’이라고 불린 범죄기획관실은 공무원 정치인 등에 대한 범죄 정보를 수집해 수사의 기초 자료로 쓸 수 있게 하는 첩보·정보 조직이다. 검찰총장의 ‘눈과 귀’라고도 불렸다. 언론과 시민단체 등의 각종 동향 정보까지 수집한다는 사찰 우려 때문에 문재인정부 때 기능이 축소됐다가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다시 살아났다.

금감원 내부에서는 “정보수집전담반 신설은 모험에 가깝다”는 말도 나온다. 정보수집만 전담으로 하는 조직을 금감원 내에 둔 건 처음이기 때문이다. 한 직원은 18일 “소위 ‘맨땅에 헤딩’해야 하는 조직”이라며 “검사 출신인 이 원장의 눈높이에 맞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정보수집전담반의 정보수집 범위를 두고도 말이 많다. 대외적으로는 불공정거래 정보만 수집한다고 하지만, 결국 검찰의 범정처럼 다방면의 첩보·정보를 수집해 원장에게 직보하는 역할을 하지 않겠느냐는 이유에서다. 이런 해석을 의식한 듯 금감원은 정보수집전담반의 역할이 불공정거래 정보 수집에 한정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