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여름 폭염 취약가구에 냉방비·용품 지원한다

입력 2023-06-19 04:03

서울 전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11일 서울시가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보호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소방청도 기후 위기에 따른 장마철 기록적인 폭우에 대비해 119 비상접수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공공요금 상승과 폭염으로 이중고를 겪을 취약계층 약 37만 가구에 냉방비 가구당 5만원씩, 총 185억원을 긴급 특별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서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31만 가구,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등 6만 가구다. 다음 달 중 현금 지급한다.

단전, 전기요금 체납, 의료비 과다지출 등 위기 정보를 활용한 기획조사로 폭염 취약가구도 발굴한다. 새롭게 위기 가구가 발굴되면 긴급복지서비스 등에 연계한다. 전기료 체납 등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는 4인가구 기준 162만원 생계비를 지원한다. 일사병 등 온열 질환에 걸려도 의료비 부담이 어려운 가구에는 의료비(100만원 이내)를, 폭염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는 냉방용품을 현물(10만원 이내)로 지원한다. 쪽방 주민을 위해선 ‘쪽방촌 동행목욕탕’의 수면실과 휴게실을 개조해 ‘밤더위 대피소’를 제공한다. 종로권역, 서울역남대문권역, 영등포권역에서 각 1개씩 운영되며 7월부터 두 달간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시는 이날 올여름 첫 폭염특보가 발령되자 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비상근무에 착수했다. 취약계층 안전 확인은 물론 도심 열섬화 완화를 위한 쿨링 로드 운영과 물청소차 투입 등을 확대했다.

소방청은 지난 16일 전국 주요 소방지휘관 회의를 개최하고 올여름 폭우 피해 예방 대책을 논의했다. 태풍·집중호우 등으로 동시다발적 피해가 발생할 경우 119신고 폭주에 대비해 각 시·도 소방본부별 119 보조접수대를 증설하고 비상접수시스템을 가동키로 했다. 이 경우 최대 회선 500대를 추가해 전국 846대의 신고접수대를 운영할 수 있다.

동시다발 출동으로 인해 긴급출동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 요원과 의용소방대원을 포함한 출동대를 미리 편성해 예비 소방활동 인력을 확보한다. 또 행정차와 화물차에도 양수기 등 수방 장비를 실어 긴급 출동에 대비한다. 반지하 주택 등 지하 침수 상황에서 신속한 인명 구조를 위해 상습 침수지역 현장 정보 수집 및 도면 확보로 생존 가능 구역을 사전에 파악한다. 소방청은 “119신고가 집중될 수 있으므로 비 긴급 신고는 가급적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