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자 소방청이 119구급대와 의료기관이 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소방청은 15일 응급환자 이송 지연을 최소화하고, 중증 응급환자 적시 치료를 위한 ‘이송 지연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단기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와 소방·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는 지역 응급의료 협의체를 기반으로 지역별 이송지침을 마련하고, 지역 응급의료 기관 간 역할 분담 체계를 정비한다. 119구급 상황관리센터의 인력을 보강하고 직제 신설도 추진한다.
연내에는 의료기관의 환자분류체계(KTAS)와 호환되는 119구급대 환자분류체계(PRE-KTAS)를 각각 도입해 병원 전 단계와 병원 단계의 환자 분류기준을 통일할 예정이다. 또 구급대의 구급 단말기와 의료기관 전산시스템도 연동해 환자 정보를 다수 인근 의료기관에서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게 한다. 이후 병원이 수용 가능 의사를 전송하면 구급대가 해당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게 된다. 이는 지난해 구급대가 이송한 약200만명의 환자 중 병원까지 1시간 이상 걸린 건수가 1만6939건으로 2019년(4332건) 대비 4배 가까이 는 데 따른 것이다. 소방청은 구급대가 의료기관에 전화로 환자 수용 여부를 묻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송이 늦어진 사례가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밖에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량 강화를 위해 응급의료 상담 표준 매뉴얼 정비, 상담 요원 교육 과정 개설 등을 중기과제로 추진한다. 남화영 소방청장은 “응급환자의 이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우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