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래동 제2세종문화회관 부지는 구민 위한 시설 건립돼야”

입력 2023-06-14 04:02

서울 영등포구는 최근 제2세종문화회관 부지가 문래동에서 여의도공원으로 변경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영등포구의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단식 농성까지 하면서 격렬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일부 주민들의 반대도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호권(사진) 영등포구청장은 단호했다. 현재 부지에 이를 법적으로 지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유지에 서울시를 위한 문화시설을 만들 수는 없다는 취지였다.

최 구청장은 13일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세종문화회관에 시민들이 공연을 보러 가려면 돈 주고 표를 사야 한다”며 “영등포구 땅에, 구민들에게 전혀 혜택 없는 시설이 들어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영등포구 자체 문화시설이 노후화된 영등포문화원과 건물 대부분이 구의회 등 비문화시설로 이용되는 영등포아트홀뿐인 만큼 구민을 위한 문화시설이 문래동 부지에 건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공유재산법상 서울시에 문래동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할 수 없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문래동 부지에 규모있는 구립 복합문화시설을 건립해 주민들이 편히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최 구청장은 “이 시설은 지역 예술인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 구청장은 문래동 준공업지역 지원에도 관심이 많았다. 이 지역에는 현재 기계금속산업 관련 1200여개 공장이 모여 있다. 최 구청장은 “과거 서울 내 대표적인 공단으로 구로공단과 문래공단이 꼽혔지만, 구로공단은 구로디지털단지가 된 반면 문래공단은 여전히 과거 모습”이라며 “정부와 협력해 이 지역을 초정밀 고부가가치산업 지역으로 육성하겠다”고 했다. 구는 장기적으로는 문래동 일대 공장들을 서울시 경계지역이나 수도권 외곽 산업단지로 이전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최 구청장은 지방자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제2세종문화회관과 관련된 논란도, 문래공단의 쇠퇴도 생활 밀착 정치가 아닌 중앙 정치가 개입했기 때문이라는 의미다. 그는 “구로디지털단지가 생긴 구로구는 구청장에 서울시 공무원 출신들이 많았다”며 “영등포구는 대부분 정치인 출신 구청장을 선택했다. 행정도 전문가가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